![]() |
||
다행인 것은 비타민C가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걸리는 암 중 하나로 꼽히는 대장암 치료에 한 발 더 가깝게 해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는 점이다.
최근 미국 존스홉킨스와 코넬 의대 공동연구팀은 비타민C를 세포 배양된 쥐에게 투여한 후 경과를 살펴보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비타민C가 전체 대장암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두 가지 변이 유전자인 ‘KRAS’와 ‘BRAF’의 성장을 억제시키거나 죽이는 것을 보였다.
연구를 이끈 루이스 캔틀리 박사는 “비타민C의 특정 성분이 두 변이 유전자에 흡수돼 생존에 필요한 항산화 물질을 빨리 없애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대장암 환자와 그 가족들 사이에서 비타민C가 포함된 종합영양제, 멀티비타민, 발포비타민 등의 매출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암웨이, GNC, 센트룸, 나우푸드, 커큘랜드 등 해외 업체들의 제품도 인기제품들을 아마존, 아이허브, 비타트라 등 해외 직구사이트를 통해 구매하는 경우도 부쩍 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합성 비타민C’는 아무런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있다는 전문가들의 견해가 이어지면서 천연비타민을 찾는 소비자들도 급격히 늘고 있다.
합성비타민C가 논란이 되는 이유는 ‘원료’와 ‘보조인자’에 있다. 합성비타민은 천연 비타민과 분자구조는 같지만, 대부분 석유찌꺼기인 콜타르나 유전자 변형을 가한 GMO 옥수수 등을 원료를 사용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합성 비타민C는 체내 흡수와 영양분 증대를 돕는 보조인자가 포함된 천연비타민과 달리, 흡수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2000년 R. J. Thiel 교수는 논문을 통해 “천연 비타민과 합성 비타민의 흡수율이 최대 3.94배나 차이 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서울대 약대 성상현 교수 또한 “천연 비타민은 합성보다 흡수율이 높아 같은 양을 먹어도 흡수가 더 잘되고, 효과도 당연히 더 높다”고 말했다.
이러한 합성비타민을 피해 100% 천연원료비타민C 제품을 찾는 건 어렵지 않다. 제품 뒷면의 ‘원재료명 및 함량’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합성비타민은 ‘비타민’처럼 영양성분만 단독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100% 천연원료비타민은 ‘아세로라추출물(비타민 C 25%)’처럼 천연원료명과 영양성분이 함께 적혀 있다.
이와 함께 비타민C 가루를 알약이나 캡슐 형태로 만들 때 사용하는 이산화규소(실리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등의 화학부형제 첨가여부도 살펴봐야 한다.
이러한 화학 부형제들은 장기간 복용 시 신장질환, 세포기능 저해, 성장억제, 적혈구 감소와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최대한 섭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중에 수많은 비타민 C 영양제가 출시돼있지만, 100% 천연원료를 사용하면서 화학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타민 브랜드로는 뉴트리코어 비타민을 비롯해 극소수의 제품뿐이라 신중한 선택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