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그렇지 않을 경우 퇴행성관절염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퇴행성관절염은 중·장년층에서 발병률이 높은 만큼 나이가 들게 되면 쉽게 생기는 질환으로, 운동을 통해서도 예방되는 질환인 만큼 초기에 치료하면 중증으로 발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나 치료하지 않은 채 오래 두게 되면 통증이 심해지고 관절의 변형을 가져오게 된다.
광혜병원 박경우 원장에 따르면 퇴행성관절염에는 여러 질병들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질환으로 ‘척추관협착증’이 있다. 척추관협착증이란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또 척추관협착증의 증상으로는 보행 시 통증과 저림 현상이 심화되어 걷다가 쉬기를 반복하는 ‘파행’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허리통증을 느끼게 된다.
광혜병원 박경우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대부분의 경우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로 발생하게 되는데, 약 60세 이후의 고령층의 경우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허리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척추관협착증을 치료함에 있어 관건은 추간공에 생긴 염증을 제거하고 신경이 압박된 부분을 어떠한 방식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는가에 있으며, 최근에는 비수술적 치료요법인 ‘추간공확장술’을 통해 문제의 상당부분을 해결하고 있다.
추간공확장술은 좁아진 추간공을 넓혀주어 신경이 압박된 부분을 해결해 추간공을 지나가는 신경절, 혈관, 자율신경 등의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치료법으로, 고령환자나 수술치료로 별다른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큰 다분절 협착증 환자, 수술이 어려운 만성질환자, 고협압, 당뇨, 심장질환자에게도 시술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광혜병원 박경우 원장은 “비수술적 치료로 이루어지는 추간공확장술은 부분마취 하에 진행되어 입원이 필요 없으며 회복이 빨라 시술 다음 날부터 일상생활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척추관협착증 환자뿐 아니라 척추관협착증을 동반한 디스크를 앓고 있는 경우, 디스크 내 압력이 높은 경우에 디스크감압술을 실시하기 전 선행하면 치료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