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계파 블랙홀’에 빠져 허우적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6-06-22 10:44:12
    • 카카오톡 보내기
    ‘권성동 버티기’에 김희옥 리더십 “흔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비박계인 권성동 사무총장이 김희옥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의 사퇴 요구에 반발하며 버티기에 들어가자 계파 간 입김이 당내 갈등을 증폭시키는 양상이다.

    당 관계자는 22일 “권 사무총장의 버티기에는 계파 갈등을 둘러싼 전략적 '의도'가 작동하고 있는 것 같다'며 "법사위원장을 맡은 직후 사무총장을 사임해야하는 당연한 수순에도 불구하고 무리수를 두는 걸 보면 의혹을 살 만 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수도권 출신 모 의원은 “김 위원장이 지난 16일 사무총장 경질 발표와 동시에 신임 사무총장을 임명했더라면 잡음이 크지 않았을 것”이라며 “권 사무총장이 계속 버티게 되면 자칫 김 위원장이 당을 떠나야 하는 최악의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권 사무총장은 전날 원내대책회의에 참석, 전당대회 준비 상황과 혁신비대위 혁신안 추진 상황 등을 설명하면서 “해임 명분이 없다. 결자해지 차원에서 (김 위원장이) 철회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10년 정몽준 당시 대표와 장광근 사무총장과의 불화 사례가 엇갈린 해석으로 활용되고 있어 눈길을 끌었다.

    ‘사무총장의 해임은 비대위원회 의결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하는 권 사무총장은 “당시 정 대표도 장 사무총장을 마음대로 어쩌지 못했다”며 “결국 정 대표가 ‘나를 선택하거나 장 사무총장을 선택하라’고 배수의 진을 치자 장 사무총장이 한 달 넘어 자진사퇴했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이를 최고위 의결 없이 당 사무총장을 경질한 대표적 사례로 꼽는 분위기다.

    실제 당시 정 대표는 2010년 1월 교체 통보를 했지만 장 사무총장이 계속 버티자 대표직을 내놓겠다는 배수의 진을 쳤고 결국 장 사무총장은 2월에 사의를 표명할 수밖에 없었다.

    친박계 김태흠 의원은 “김 위원장이 경질을 발표한 순간 이미 사무총장직에서 끝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친박계 의원도 “김 위원장은 혁신비대위에서 16일 무소속 의원들의 일괄 복당이 결정되자 칩거에 들어간 뒤 19일 복귀 의사를 밝히며 권 사무총장의 경질 방침을 밝혔다”며 “사무총장은 당 대표를 보좌해 당무를 처리하는 역할인 만큼 당 대표를 맡고 있는 비대위원장이 필요 없다면 물러나야 한다”고 가세했다.

    친박계 박대출 의원 역시 “권 사무총장이 비대위 의결을 통해서만 해임될 수 있다고 버티는데, 사무총장은 ‘당연직’비대위원이기 때문에 비대위의 해임 의결이 필요 없고, 정치적으로도 사무총장은 당 대표를 직속상관으로 두기 때문에 권 사무총장은 김 위원장의 교체 결정을 거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우현 의원은 “훌륭한 분을 모시고 와서 그냥 로봇으로 만들어 버리면 안 되지 않느냐”며 권 총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일부 비박계 의원도 가세했다.

    한 비박계 의원은 “김 위원장이 당무에 복귀하면서 내홍 수습 차원에서 사무총장을 교체하려는 것인 만큼 스스로 사퇴하는 선에서 빨리 갈등을 봉합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하지만 김희옥 비대위원장을 향한 비박계의 공세도 만만치 않다.

    비박계 당권주자인 정병국 의원은 전날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러려면 당무 복귀를 할 이유가 뭐가 있느냐. 그냥 가면 되는 것 아니냐”고 김 위원장을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특히 비박계 하태경 의원은 “사무총장 해임은 당헌ㆍ당규에 따라 비대위원장이 일방적으로 할 수 없다”며 “김 위원장이 오히려 혁신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 자기 결단을 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이에 대해 당사자인 김 위원장은 현재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고 있다.

    그는 전날 여의도 한 식당에서 초선 의원들과 오찬 간담회를 가졌지만 사무총장 인선 문제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다만 권 사무총장의 버티기가 계속되면 지도력에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만큼 마냥 기다리지만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결국 권 사무총장의 거취 문제는 23일로 예정된 혁신비대위 회의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