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민게이트’제대로 조사 않고 면죄부”비판 쏟아져
[시민일보=이영란 기자]‘김수민 리베이트 수수 의혹’규명을 위한 국민의당 진상조사단의 엉성한 대응이 오히려 민심을 악화시켰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22일 “진상조사단이 모든 것을 솔직히 밝히고 적극적으로 해명했다면 의혹이 더 커지지 않았을 수 있다는 내부 비판이 나오고 있다”며 “제대로 조사조차 하지 않고 당사자들에게 면죄부를 준 게 아니냐는 지적으로 곤혹스러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실제 진상조사단은 4.13총선에서 김수민 의원이 자신이 대표로 있던 디자인업체 브랜드호텔을 통해 홍보대행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 지난 15일 중간조사 결과 발표에서 “국민의당으로 돈이 유입된 흔적이 없다”면서 전면 부인했다.
진상조사단이 출범한 지 3일도 채 되지 않은 시점이었고, 사건의 당사자인 김수민·박선숙 의원과 왕주현 사무부총장에 대한 면담조사조차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따라서너무 성급하게 발표한 것이 아니냐는 내부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었다.
특히 이번에는 김 의원이 비례대표 7번에 선정되고 브랜드호텔 대표직에서 사임한 후에도 광고대행업체인 S사와 브랜드호텔이 진행하고 있던 국민의당 홍보 업무에 직접적으로 관여한 사실이 드러났다.
문제는 진상조사단이 이러한 사실을 사전에 파악하고 있었는데도 중간조사 발표에서는 어떤 언급도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런데 막상 일이 터지자 진상조사단은 뒤늦게 “김 의원이 비례대표에 선정된 후 브랜드호텔 업무를 했어도 법적으로 문제 될 것이 없다”고 해명해 빈축을 사기도 했다.
당 관계자는 “진상조사단의 이런 해명은 우리 당이 줄곧 강조했던 ‘국민의 상식’선에서 생각해 보면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부분”이라며 “당 선거대책위 홍보위원장을 맡고 있었던 비례대표 후보가 자신이 대표로 있던 회사를 통해 당의 일감을 수주했던 셈인데 진상조사단이 오히려 이러한 부분들을 솔직히 밝히고 적극적으로 해명했다면 의혹이 더 커지지 않았을 수 있을 것이란 점에서 아쉽다”고 지적했다.
특히 진상조사단이 애초에 졸속으로 만들어졌다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진상조사단은 이상돈 최고위원을 단장으로 하고 법조인 출신 박주선 국회 부의장과 김경진·김삼화 의원 등 4명으로 구성됐는데, 국회 부의장을 진상조사단에 포함시킨 것 자체가 이상하다는 것이다.
박 부의장은 자신은 이름만 올려놓았을 뿐, 진상조사단 조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국민의당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 서부지검은 사건 연루자 중 한 명인 박선숙 의원에 대해 24일 출석을 요구했으나, 박 의원이 연기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원이 소환될 경우 검찰 수사는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김수민 리베이트 수수 의혹’규명을 위한 국민의당 진상조사단의 엉성한 대응이 오히려 민심을 악화시켰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22일 “진상조사단이 모든 것을 솔직히 밝히고 적극적으로 해명했다면 의혹이 더 커지지 않았을 수 있다는 내부 비판이 나오고 있다”며 “제대로 조사조차 하지 않고 당사자들에게 면죄부를 준 게 아니냐는 지적으로 곤혹스러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실제 진상조사단은 4.13총선에서 김수민 의원이 자신이 대표로 있던 디자인업체 브랜드호텔을 통해 홍보대행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 지난 15일 중간조사 결과 발표에서 “국민의당으로 돈이 유입된 흔적이 없다”면서 전면 부인했다.
진상조사단이 출범한 지 3일도 채 되지 않은 시점이었고, 사건의 당사자인 김수민·박선숙 의원과 왕주현 사무부총장에 대한 면담조사조차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따라서너무 성급하게 발표한 것이 아니냐는 내부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었다.
특히 이번에는 김 의원이 비례대표 7번에 선정되고 브랜드호텔 대표직에서 사임한 후에도 광고대행업체인 S사와 브랜드호텔이 진행하고 있던 국민의당 홍보 업무에 직접적으로 관여한 사실이 드러났다.
문제는 진상조사단이 이러한 사실을 사전에 파악하고 있었는데도 중간조사 발표에서는 어떤 언급도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런데 막상 일이 터지자 진상조사단은 뒤늦게 “김 의원이 비례대표에 선정된 후 브랜드호텔 업무를 했어도 법적으로 문제 될 것이 없다”고 해명해 빈축을 사기도 했다.
당 관계자는 “진상조사단의 이런 해명은 우리 당이 줄곧 강조했던 ‘국민의 상식’선에서 생각해 보면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부분”이라며 “당 선거대책위 홍보위원장을 맡고 있었던 비례대표 후보가 자신이 대표로 있던 회사를 통해 당의 일감을 수주했던 셈인데 진상조사단이 오히려 이러한 부분들을 솔직히 밝히고 적극적으로 해명했다면 의혹이 더 커지지 않았을 수 있을 것이란 점에서 아쉽다”고 지적했다.
특히 진상조사단이 애초에 졸속으로 만들어졌다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진상조사단은 이상돈 최고위원을 단장으로 하고 법조인 출신 박주선 국회 부의장과 김경진·김삼화 의원 등 4명으로 구성됐는데, 국회 부의장을 진상조사단에 포함시킨 것 자체가 이상하다는 것이다.
박 부의장은 자신은 이름만 올려놓았을 뿐, 진상조사단 조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국민의당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 서부지검은 사건 연루자 중 한 명인 박선숙 의원에 대해 24일 출석을 요구했으나, 박 의원이 연기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원이 소환될 경우 검찰 수사는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