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800곳, 경남도 610곳 동참
맞춤형보육 반발…보육대란은 없어
[시민일보=이대우 기자]23일 민간어린이집이 ‘부분 휴원’에 들어갔으나 우려했던 보육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앞서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는 ‘맞춤형 보육’에 반발해 집단 휴원을 예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경기·부산·경남 등 지역에서 학부모들의 동의를 얻어 출석 원생을 줄이는 ‘자율 등원(부분 휴원)’에 들어간 반면 서울·인천·울산·강원·충북·광주·전남 등 지역의 민간어린이집은 부분 휴원에 동참하지 않았다.
또한 부분 휴원에 참여한 어린이집들도 운영에 별다른 차질은 빚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도 31개 시·군 가운데 화성·남양주·군포·파주·광주 등 5개 시를 중심으로 490여곳의 민간어린이집이 부분 휴원에 들어간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말 기준으로 현재 경기도내에는 민간어린이집 3965곳이 운영 중이다.
앞서 경기민간어린이집연합회측은 도내 민간어린이집의 60∼70%가 부분 휴원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부산시는 전체 1950개 어린이집 가운데 800여곳이 자율 등원에 동참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민간어린이집연합회는 당초 822곳의 어린이집이 휴원에 참가한다고 밝혔으나 일부 줄어들었다.
대전시 민간어린이집들도 자율 등원에 들어갔으나 별 차질없이 운영되고 있다.
경남민간어린이집연합회 관계자는 “부모와 싸우는 것이 아니고 정부 정책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휴원을 한다”며 “그러나 휴가가 아니기 때문에 어린이집 교사 절반 이상은 근무하는 상태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경남도는 전체 1100여곳 민간어린이집 가운데 610여 곳이 자율 등원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했다.
그러나 맞춤형 보육과 관련해 갈등의 소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번 부분 휴원에 동참하지 않은 한 지역의 민간어린이집연합회 관계자는 “정부의 ‘맞춤형 보육’에 동의해서 움직이지 않는 것은 아니다”라며 “24일이 종일반 신청 마감이므로 그 이후 종일반과 맞춤반의 비율을 보고 대응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맞춤형보육 반발…보육대란은 없어
[시민일보=이대우 기자]23일 민간어린이집이 ‘부분 휴원’에 들어갔으나 우려했던 보육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앞서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는 ‘맞춤형 보육’에 반발해 집단 휴원을 예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경기·부산·경남 등 지역에서 학부모들의 동의를 얻어 출석 원생을 줄이는 ‘자율 등원(부분 휴원)’에 들어간 반면 서울·인천·울산·강원·충북·광주·전남 등 지역의 민간어린이집은 부분 휴원에 동참하지 않았다.
또한 부분 휴원에 참여한 어린이집들도 운영에 별다른 차질은 빚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도 31개 시·군 가운데 화성·남양주·군포·파주·광주 등 5개 시를 중심으로 490여곳의 민간어린이집이 부분 휴원에 들어간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말 기준으로 현재 경기도내에는 민간어린이집 3965곳이 운영 중이다.
앞서 경기민간어린이집연합회측은 도내 민간어린이집의 60∼70%가 부분 휴원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부산시는 전체 1950개 어린이집 가운데 800여곳이 자율 등원에 동참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민간어린이집연합회는 당초 822곳의 어린이집이 휴원에 참가한다고 밝혔으나 일부 줄어들었다.
대전시 민간어린이집들도 자율 등원에 들어갔으나 별 차질없이 운영되고 있다.
경남민간어린이집연합회 관계자는 “부모와 싸우는 것이 아니고 정부 정책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휴원을 한다”며 “그러나 휴가가 아니기 때문에 어린이집 교사 절반 이상은 근무하는 상태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경남도는 전체 1100여곳 민간어린이집 가운데 610여 곳이 자율 등원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했다.
그러나 맞춤형 보육과 관련해 갈등의 소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번 부분 휴원에 동참하지 않은 한 지역의 민간어린이집연합회 관계자는 “정부의 ‘맞춤형 보육’에 동의해서 움직이지 않는 것은 아니다”라며 “24일이 종일반 신청 마감이므로 그 이후 종일반과 맞춤반의 비율을 보고 대응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