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8.9 전당대회를 앞두고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검토하고 있는 ‘모바일투표’ 도입 안이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비대위는 전당대회 닷새 전인 8월4일부터 이틀간 실시되는 모바일 사전투표를 시작으로, 7일 투표소 현장 투표와 9일 대의원 투표로 지도부를 선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이뤄지는 모바일 사전투표제를 도입해야 젊은 층의 투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게 명분이다.
그러나 친박계 정우택 의원은 29일 한 방송에 출연, 모바일 투표에 대해 "언제 어디서든 투표가 가능해서 시민의 정치 참여가 확대된다는 장점은 있다"면서도 "다만 대리 투표나, 동원 투표와 같은 매표행위가 발생할 수 있고, 후보 간 대중 인지도에 의한 인기투표가 될 수 있다"고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어 "구속된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 있지 않나, 그분 같은 경우 2012년 통합진보당 총선 공천 당시 이석기 의원이 1위를 한 모바일 투표 경선에서 대리 투표 의혹으로 분당의 계기가 된 사례도 있다"고 거듭 비판했다.
실제 모바일 투표는 더민주의 전신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최초로 도입됐으나, 공정성 시비와 함께 민주주의 원리라는 최소한의 기준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근본적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용도폐기 된 바 있다.
또 헌재 판결에 의해 해체된 통합진보당이 모바일투표를 하는 과정에서 가짜 명부를 이용해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전화번호로 투표를 한 사실이 드러나 폐해의 심각성에 대한 지적이 적지 않은 제도다.
당 관계자는 “모바일투표는 긍정적 효과보다 부작용의 심각성이 더 우려되는 제도”라며 "폐해 때문에 다른 당에서 용도폐기한 정책을 굳이 뒤늦게 도입하려는 의도가 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모바일 도입은 백지화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비대위는 전당대회 닷새 전인 8월4일부터 이틀간 실시되는 모바일 사전투표를 시작으로, 7일 투표소 현장 투표와 9일 대의원 투표로 지도부를 선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이뤄지는 모바일 사전투표제를 도입해야 젊은 층의 투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게 명분이다.
그러나 친박계 정우택 의원은 29일 한 방송에 출연, 모바일 투표에 대해 "언제 어디서든 투표가 가능해서 시민의 정치 참여가 확대된다는 장점은 있다"면서도 "다만 대리 투표나, 동원 투표와 같은 매표행위가 발생할 수 있고, 후보 간 대중 인지도에 의한 인기투표가 될 수 있다"고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어 "구속된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 있지 않나, 그분 같은 경우 2012년 통합진보당 총선 공천 당시 이석기 의원이 1위를 한 모바일 투표 경선에서 대리 투표 의혹으로 분당의 계기가 된 사례도 있다"고 거듭 비판했다.
실제 모바일 투표는 더민주의 전신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최초로 도입됐으나, 공정성 시비와 함께 민주주의 원리라는 최소한의 기준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근본적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용도폐기 된 바 있다.
또 헌재 판결에 의해 해체된 통합진보당이 모바일투표를 하는 과정에서 가짜 명부를 이용해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전화번호로 투표를 한 사실이 드러나 폐해의 심각성에 대한 지적이 적지 않은 제도다.
당 관계자는 “모바일투표는 긍정적 효과보다 부작용의 심각성이 더 우려되는 제도”라며 "폐해 때문에 다른 당에서 용도폐기한 정책을 굳이 뒤늦게 도입하려는 의도가 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모바일 도입은 백지화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