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국 “총선패배 책임지고 물러났던 사람이...”
이주영 “공천과정에서의 계파싸움 반복될 것”
한선교 “신구세력 ‘대결의 장’ 될 수도 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8.9 전당대회를 앞두고 친박계 일부가 서청원 의원의 출마를 위해 멍석을 깔고 있지만 다른 당권주자들의 집중포화를 맞는 모습이다.
비박계 당권주자인 정병국 의원은 11일 서청원 의원의 출마와 관련, “출마하는 것은 누구나 자유”라면서 “국민이 심판을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총선 패배 직후 지도부가 총사퇴를 하지 않았느냐. 서청원 의원은 우리 지도부의 핵심에 계셨던 분”이라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그는 “책임을 지고 물러났던 분이 다시 나온다는 것도 안 맞고, 또 계파를 청산하자고 하면서 계파의 추대를 통해서 나온다는 것도 안 맞다”며 “(출마한다면) 계파정치를 하려고 하는 그룹과 혁신정치를 하려고 하는 그룹의 싸움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저는 서청원 대표가 그런 판단을 하시리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역시 당권도전에 나선 이주영 의원도 이날 PBC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에서 “서청원 의원은 계파 친박의 좌장으로 알려진 분이기 때문에 나오시면 공청 과정에서의 계파싸움이 반복되지 않겠는가 하는 우려도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특히 그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친박계 후보의 단일화 문제에 대해 “누누이 강조하지만, 계파구도로, 계파의 프레임 가지고 얘기하는 것은 우리 국민과 당원들께 도리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앞서 그는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도 ‘서청원 추대론’에 대해 “새누리당이 정신을 못 차렸다는 비판을 넘어서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화합과 정권 재창출의 적임자가 누구인지 판단받겠다는 관점에서 출마했기 때문에 끝까지 완주한다”고 밝힌 바 있다.
친박계 당권주자 한선교 의원도 같은 날 tbs 라디오 ‘열린아침 김만흠입니다’에 출연, 서청원 의원이 출마하더라도 완주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
그는 “(서청원이)출마를 하신다면 새로운 신구 세력의 대결의 장이 될 수도 있는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친박 후보 간 교통정리에 대해서는 “저한테는 한 번도 의논해오지 않았다”며 “의논을 하자고해도 저는 끝까지 제가 가고자 하는 방향, 제가 하고자 하는 목표를 이루겠다”고 거듭 완주의지를 드러냈다.
반면 친박계 일부는 서 의원의 출마를 위해 군불 떼기에 여념이 없는 모습이다.
이와 관련 친박계 중진 의원은 “최경환이가 안 나오고 서 대표(의원)를 대타로 기용하는 건데 저렇게 멍석을 깔아주는데 못 이기는 척 나오지 않겠느냐”며 “아무래도 냄새가 난다”고 의구심을 드러낸 바 있다.
실제 친박 핵심 실세인 최경환 의원이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한 날(7월 6일) 정갑윤 조원진 김태흠 이장우 함진규 등 친박계 의원들이 서 의원의 의원회관 사무실을 방문하고, 그 다음날에도 또 찾아가 설득하는 등 서청원 의원의 출마를 위해 멍석을 깔아주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친박계 일부가 이주영 의원과 이정현 의원이 출마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힌 상황에서 서청원 출마를 종용하는 것에 대해 한 친박계 의원은 “이주영 의원과 이정현 의원은 믿을 수 없다는 의미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정진석 원내대표는 친박 몰표로 당선됐는데 유승민 의원 복당에 가장 앞장섰다”며 “이주영 의원도 다르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정현 의원은 KBS 녹취록 파문으로 이슈의 중심에 서는 등 정치적 언행에 있어선 불안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일부에선 이정현이 자기 정치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서 의원도 사실상 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서 의원실 핵심관계자는 전날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현재 당 대표에 출마를 하는 것이 당의 화합을 도모하고 정국의 안정과 정권 재창출의 기반을 만들 수 있는가 등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말인 휴일, 그것도 제 3자가 아닌 의원실 관계자가 직접 ‘출마유력’으로 해석되는 입장을 표명하고 나선 것은 서 의원과 사전논의가 없으면 불가능한 일로 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은 서 의원 측이 사전에 분위기를 띄우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주영 “공천과정에서의 계파싸움 반복될 것”
한선교 “신구세력 ‘대결의 장’ 될 수도 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8.9 전당대회를 앞두고 친박계 일부가 서청원 의원의 출마를 위해 멍석을 깔고 있지만 다른 당권주자들의 집중포화를 맞는 모습이다.
비박계 당권주자인 정병국 의원은 11일 서청원 의원의 출마와 관련, “출마하는 것은 누구나 자유”라면서 “국민이 심판을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총선 패배 직후 지도부가 총사퇴를 하지 않았느냐. 서청원 의원은 우리 지도부의 핵심에 계셨던 분”이라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그는 “책임을 지고 물러났던 분이 다시 나온다는 것도 안 맞고, 또 계파를 청산하자고 하면서 계파의 추대를 통해서 나온다는 것도 안 맞다”며 “(출마한다면) 계파정치를 하려고 하는 그룹과 혁신정치를 하려고 하는 그룹의 싸움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저는 서청원 대표가 그런 판단을 하시리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역시 당권도전에 나선 이주영 의원도 이날 PBC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에서 “서청원 의원은 계파 친박의 좌장으로 알려진 분이기 때문에 나오시면 공청 과정에서의 계파싸움이 반복되지 않겠는가 하는 우려도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특히 그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친박계 후보의 단일화 문제에 대해 “누누이 강조하지만, 계파구도로, 계파의 프레임 가지고 얘기하는 것은 우리 국민과 당원들께 도리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앞서 그는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도 ‘서청원 추대론’에 대해 “새누리당이 정신을 못 차렸다는 비판을 넘어서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화합과 정권 재창출의 적임자가 누구인지 판단받겠다는 관점에서 출마했기 때문에 끝까지 완주한다”고 밝힌 바 있다.
친박계 당권주자 한선교 의원도 같은 날 tbs 라디오 ‘열린아침 김만흠입니다’에 출연, 서청원 의원이 출마하더라도 완주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
그는 “(서청원이)출마를 하신다면 새로운 신구 세력의 대결의 장이 될 수도 있는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친박 후보 간 교통정리에 대해서는 “저한테는 한 번도 의논해오지 않았다”며 “의논을 하자고해도 저는 끝까지 제가 가고자 하는 방향, 제가 하고자 하는 목표를 이루겠다”고 거듭 완주의지를 드러냈다.
반면 친박계 일부는 서 의원의 출마를 위해 군불 떼기에 여념이 없는 모습이다.
이와 관련 친박계 중진 의원은 “최경환이가 안 나오고 서 대표(의원)를 대타로 기용하는 건데 저렇게 멍석을 깔아주는데 못 이기는 척 나오지 않겠느냐”며 “아무래도 냄새가 난다”고 의구심을 드러낸 바 있다.
실제 친박 핵심 실세인 최경환 의원이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한 날(7월 6일) 정갑윤 조원진 김태흠 이장우 함진규 등 친박계 의원들이 서 의원의 의원회관 사무실을 방문하고, 그 다음날에도 또 찾아가 설득하는 등 서청원 의원의 출마를 위해 멍석을 깔아주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친박계 일부가 이주영 의원과 이정현 의원이 출마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힌 상황에서 서청원 출마를 종용하는 것에 대해 한 친박계 의원은 “이주영 의원과 이정현 의원은 믿을 수 없다는 의미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정진석 원내대표는 친박 몰표로 당선됐는데 유승민 의원 복당에 가장 앞장섰다”며 “이주영 의원도 다르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정현 의원은 KBS 녹취록 파문으로 이슈의 중심에 서는 등 정치적 언행에 있어선 불안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일부에선 이정현이 자기 정치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서 의원도 사실상 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서 의원실 핵심관계자는 전날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현재 당 대표에 출마를 하는 것이 당의 화합을 도모하고 정국의 안정과 정권 재창출의 기반을 만들 수 있는가 등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말인 휴일, 그것도 제 3자가 아닌 의원실 관계자가 직접 ‘출마유력’으로 해석되는 입장을 표명하고 나선 것은 서 의원과 사전논의가 없으면 불가능한 일로 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은 서 의원 측이 사전에 분위기를 띄우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