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복지재단, '사회복지 인프라 확충 방안' 보고서 발간

    복지 / 채종수 기자 / 2016-07-18 17:56:35
    • 카카오톡 보내기
    "경기도 복지시설 남부에 집중… 북부에 15곳 확충 필요"

    [수원=채종수 기자]전국 복지인프라의 24.9%가 집중된 경기도에서 복지인프라가 전반적으로 부족한 다수 지자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중 지역복지에 필요한 대표적 이용시설이 1곳도 없는 자치단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복지재단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 북부지역 사회복지 인프라 확충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경기도 31개 지역의 사회복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 현황을 검토하고 북부 10개 시ㆍ군에 복지대상별 인구 대비 부족한 시설과 확충 규모 및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결과다.

    분석 결과 경기도 복지인프라는 1만5600여곳으로 전국 시설의 24.9%가 집중됐다.

    그러나 이는 주로 남부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경기 북부 10개 자치단체 중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지역자활센터 등 지역복지에 필요한 대표적인 이용시설이 1곳도 없는 자치단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평군, 동두천시, 양주시, 연천군 등은 복지인프라가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1000명당 복지시설수를 비교하는 인구대비 시설 공급비율을 보면, 공급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고양시는 사회복지관이 6곳으로 경기 북부에서 가장 많이 설치 운영되고 있지만 인구 100만6154명에 사회복지관 공급 수준이 0.01곳에 지나지 않는다.

    남부와 북부로 나눠 수요·공급비율을 분석한 결과 시흥시가 수급비율이 가장 높고, 과천시, 부천시, 오산시, 군포시, 광명시, 성남시, 하남시 등 주로 남부지역이 높았다.

    반면 의정부시, 파주시, 동두천시, 양주시, 연천군, 가평군 등 북부지역의 비율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북부지역에 노인복지관 4곳, 장애인복지관 5곳, 사회복지관 6곳을 신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규설치외에 장애인, 노인 등 대상자의 이용특성에 의해 연계가 가능한 시설들을 서비스의 성격과 기능 중심으로 연계를 강화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이미 지역사회에서 복지인프라로서 역할하고 있는 시설들은 그 기능을 주민의 욕구변화에 맞춰 특성화 하거나, 연관 프로그램 활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유정원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은 “연구 결과가 경기도 북부지역 사회복지 인프라 확충과 기존 인프라 활용을 통한 불균형 해소에 기여하는 정책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