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가 18일에도 당 강령 중 '노동자' 문구 삭제 논란과 관련해 거듭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를 공격했다. 이에따라 추 의원이 당 대표로 선출될 경우 김 대표에 대한 토사구팽 속도가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추 후보는 이날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 인터뷰에서 "이것(노동자)에 대한 삭제는 있을 수가 없었던 일"이라며 “역시 빨리 과거 김종인 지도체제를 끝냈어야 했다”고 김종인 비대위체제를 직격했다.
그러면서 “전당대회를 미리 해서 정말 당을 제대로 대선준비를 했었어야 이런 논란이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자신을 비롯한 당 대표 후보들의 문구 삭제 반대 입장을 문제 삼은 김 대표에게 "그냥 말시비라고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며 "이 문제는 심각하게 받아들였어야 한다. 또 그런 실수가 용납되는 것이 아닌 게 정당"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추미애 의원의 깅종인 대표를 향한 공세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추 의원은 지난 5월1일 당대표 출마 의사와 함께 ‘김종인 비대위 체제’에 직격탄을 날린 바 있다. 특히 추 의원은 호남참패에 대해 ‘문재인 책임론’을 제기하는 일반의 시각과 달리 ‘김종인 책임론’을 제기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실제 당시 추 의원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너진 지지기반의 이탈을 막고 상실감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하루 빨리 현행 과도체제를 종식하고 당을 정상화해야 한다”며 “호남 참패를 가져온 현 비대위(비상대책위) 체제를 유지한다는 것은 더민주 심장인 호남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었다.
그러면서 ‘김종인 책임론’을 거듭 언급하며 하루라도 빨리 전당대회(이하 전대)를 개최해야 한다고 강조했었다.
추 의원은 또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힘을 실었다며 사실상 '탄핵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 같은 추의원의 김종인 대표를 향한 공세는 당내 최대 계파인 친노.친문계에 구애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추 후보는 문재인 전 대표의 지지에 기대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어느 누구 계파에 의해서 등 대고 정치를 해본 적이 없다. 또 앞으로도 그럴 리가 없다. 대선주자는 누가 국민 지지를 많이 받느냐에 따라서 결정될 것"이라며 "(대선후보경선은) 당 대표가 순위를 좌지우지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당 대표가 무슨 조물주냐"고 반박했다.
추 후보는 이날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 인터뷰에서 "이것(노동자)에 대한 삭제는 있을 수가 없었던 일"이라며 “역시 빨리 과거 김종인 지도체제를 끝냈어야 했다”고 김종인 비대위체제를 직격했다.
그러면서 “전당대회를 미리 해서 정말 당을 제대로 대선준비를 했었어야 이런 논란이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자신을 비롯한 당 대표 후보들의 문구 삭제 반대 입장을 문제 삼은 김 대표에게 "그냥 말시비라고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며 "이 문제는 심각하게 받아들였어야 한다. 또 그런 실수가 용납되는 것이 아닌 게 정당"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추미애 의원의 깅종인 대표를 향한 공세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추 의원은 지난 5월1일 당대표 출마 의사와 함께 ‘김종인 비대위 체제’에 직격탄을 날린 바 있다. 특히 추 의원은 호남참패에 대해 ‘문재인 책임론’을 제기하는 일반의 시각과 달리 ‘김종인 책임론’을 제기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실제 당시 추 의원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너진 지지기반의 이탈을 막고 상실감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하루 빨리 현행 과도체제를 종식하고 당을 정상화해야 한다”며 “호남 참패를 가져온 현 비대위(비상대책위) 체제를 유지한다는 것은 더민주 심장인 호남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었다.
그러면서 ‘김종인 책임론’을 거듭 언급하며 하루라도 빨리 전당대회(이하 전대)를 개최해야 한다고 강조했었다.
추 의원은 또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힘을 실었다며 사실상 '탄핵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 같은 추의원의 김종인 대표를 향한 공세는 당내 최대 계파인 친노.친문계에 구애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추 후보는 문재인 전 대표의 지지에 기대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어느 누구 계파에 의해서 등 대고 정치를 해본 적이 없다. 또 앞으로도 그럴 리가 없다. 대선주자는 누가 국민 지지를 많이 받느냐에 따라서 결정될 것"이라며 "(대선후보경선은) 당 대표가 순위를 좌지우지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당 대표가 무슨 조물주냐"고 반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