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21일 고별 간담회를 갖고 “국민이 이기는 집권을 준비하겠다”고 사실상 ‘킹메이커’의지를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지금 이 나라와 국민이 처한 가장 큰 위기이자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는 분열이다. 우리의 공동목표는 바로 분열과 싸우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경제민주화도 결국은 분열을 극복하기 위함"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잘못된 경제구조가 국민의 삶을 양극화의 덫에 빠트리고 있다. 양극화는 국민 삶의 근본에서 시작되는 분열"이라며 "경제민주화 없는 정치적 민주화는 성공할 수 없다. 지금 우리는 극심한 사회 양극화 속에서 민주주의가 흔들리는 현실을 목도 중"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2007년 민주세력이 정권을 내줌으로써 초래한 가장 큰 책임이 바로 여기에 있다. 우리는 이 점을 반성하고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며 “경제민주화야말로 99%의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고 정권교체로 가는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 대표는 또 “우리당의 집권과 정권교체가 분열의 길이 되면 결코 안 된다. 집권을 위해 분열을 조장하는 것을 용인해서도 안 된다. 분열을 통해서는 결코 정권을 교체할 수 없으며 그렇게 집권해본들 어떻게 이 험난하고 거대한 경제민주화의 장정을 함께 시작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는 사실상 선명성 경쟁을 벌이는 친문세력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국민은 여소야대의 국회를 만들어주셨다. 이는 민생의 광장에서 국민과 함께 호흡하면서도 싸워야 할 곳은 이곳 국회 의사당이라는 것을 가르쳐 준 것”이라며 “정치가 거리의 구호와 선동의 말잔치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사드배치 문제와 관련, “사드와 관련한 정부 여당의 대응은 대단히 미흡하고 실망스럽지만 더불어민주당 역시 책임 있는 수권정당으로서 국익의 우선순위와 역사적 맥락을 따져 현명한 판단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며 “지금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협하는 것은 북한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핵을 개발함으로써 민족 전체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는 점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입장이기도 한 동시에 동아시아 안보에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개헌으로 협치의 길을 열어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경제민주화, 책임정치, 굳건한 안보 이 세 가지 축이 차기 대선 승리의 관건”이라며 “세 가지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 필요한 것이 개헌”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자리에서 다시 한 번 개헌논의를 개시할 것을 제안한다. 국가의 틀을 근본부터 다시 짜야 한다. 제왕적 대통령이 모든 것을 결정하고 여당은 거수기로 전락하여 대립과 혼란 속에 국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국민통합을 이루고 여야가 함께 나라의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협치가 불가능하다. 대통령제 70년, 이제 바꿀 때가 되었다”면서 “동시에 국민의 지지가 국회의석으로 정확하게 반영되는 선거제도 역시 반드시 도입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개헌은 시대적 과제”라며 “더불어민주당은 대선 준비에 들어가기 전에 개헌에 대한 당의 공식입장을 명확히 해야 한다. 특히 대선을 앞두고 책임 있는 대선 후보라면, 이번 전당대회가 끝나자마자 먼저 ‘개헌’에 관한 입장과 역할을 마땅히 밝혀야 한다”며 “나아가 개헌논의를 위해 지난 6월 21일 국회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정당, 정파를 초월한 국회 헌법 개정 특별위원회 설치’를 다시 한 번 제안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김 대표는 “경제민주화, 제게 주어진 천명이라고 감히 말씀드린다. 당 대표를 내려놓은 이후에도 저는 경제민주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서는 저는 그 어떤 역할도 마다하지 않고, 그 어떤 책임이라도 떠맡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지금 이 나라와 국민이 처한 가장 큰 위기이자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는 분열이다. 우리의 공동목표는 바로 분열과 싸우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경제민주화도 결국은 분열을 극복하기 위함"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잘못된 경제구조가 국민의 삶을 양극화의 덫에 빠트리고 있다. 양극화는 국민 삶의 근본에서 시작되는 분열"이라며 "경제민주화 없는 정치적 민주화는 성공할 수 없다. 지금 우리는 극심한 사회 양극화 속에서 민주주의가 흔들리는 현실을 목도 중"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2007년 민주세력이 정권을 내줌으로써 초래한 가장 큰 책임이 바로 여기에 있다. 우리는 이 점을 반성하고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며 “경제민주화야말로 99%의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고 정권교체로 가는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 대표는 또 “우리당의 집권과 정권교체가 분열의 길이 되면 결코 안 된다. 집권을 위해 분열을 조장하는 것을 용인해서도 안 된다. 분열을 통해서는 결코 정권을 교체할 수 없으며 그렇게 집권해본들 어떻게 이 험난하고 거대한 경제민주화의 장정을 함께 시작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는 사실상 선명성 경쟁을 벌이는 친문세력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국민은 여소야대의 국회를 만들어주셨다. 이는 민생의 광장에서 국민과 함께 호흡하면서도 싸워야 할 곳은 이곳 국회 의사당이라는 것을 가르쳐 준 것”이라며 “정치가 거리의 구호와 선동의 말잔치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사드배치 문제와 관련, “사드와 관련한 정부 여당의 대응은 대단히 미흡하고 실망스럽지만 더불어민주당 역시 책임 있는 수권정당으로서 국익의 우선순위와 역사적 맥락을 따져 현명한 판단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며 “지금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협하는 것은 북한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핵을 개발함으로써 민족 전체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는 점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입장이기도 한 동시에 동아시아 안보에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개헌으로 협치의 길을 열어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경제민주화, 책임정치, 굳건한 안보 이 세 가지 축이 차기 대선 승리의 관건”이라며 “세 가지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 필요한 것이 개헌”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자리에서 다시 한 번 개헌논의를 개시할 것을 제안한다. 국가의 틀을 근본부터 다시 짜야 한다. 제왕적 대통령이 모든 것을 결정하고 여당은 거수기로 전락하여 대립과 혼란 속에 국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국민통합을 이루고 여야가 함께 나라의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협치가 불가능하다. 대통령제 70년, 이제 바꿀 때가 되었다”면서 “동시에 국민의 지지가 국회의석으로 정확하게 반영되는 선거제도 역시 반드시 도입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개헌은 시대적 과제”라며 “더불어민주당은 대선 준비에 들어가기 전에 개헌에 대한 당의 공식입장을 명확히 해야 한다. 특히 대선을 앞두고 책임 있는 대선 후보라면, 이번 전당대회가 끝나자마자 먼저 ‘개헌’에 관한 입장과 역할을 마땅히 밝혀야 한다”며 “나아가 개헌논의를 위해 지난 6월 21일 국회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정당, 정파를 초월한 국회 헌법 개정 특별위원회 설치’를 다시 한 번 제안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김 대표는 “경제민주화, 제게 주어진 천명이라고 감히 말씀드린다. 당 대표를 내려놓은 이후에도 저는 경제민주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서는 저는 그 어떤 역할도 마다하지 않고, 그 어떤 책임이라도 떠맡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