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놓고 여야 반응이 극명하게 엇갈리는 가운데 앞으로 있을 정기국회 파행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이정현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 대해 “명연설”이라고 극찬했다.
정 원내대표는 “야당이 ‘국정의 한 축’이라는 책임감 가지고 국정에 임해주기를 바란다”며 이 대표의 연설을 계기로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ㆍ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대한 해임결의안 제출을 철회하고, 협치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그러나 야당은 이 대표의 연설 도중 야유를 보내는 등 노골적인 비난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향후 국회가 ‘강경대치’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실제 이날 연설에서 이 대표가 안보를 위한 초당적 협력을 강조하자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안보를 위해서 그러면 안 된다”고 반발했다. 같은당 변재일 의원도 이 대표가 노동개혁법안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도중 “아무것도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핀잔을 줬고 조응천 의원의 경우, “공부 좀 하시오”라며 빈정대기까지 했다.
특히 ‘조선·해운 구조조정 청문회’(서별관회의 청문회)와 ‘백남기 농민 사건 청문회’ 등 여야가 합의한 청문회는 물론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관련 의혹이 쟁점이 될 운영위원회 등에서 충돌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심지어 야권 일각에선 청문회 ‘창’ 끝을 더 가다듬어야 한다며 청문회 연기론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여야가 강대강으로 치달을 첫 번째 ‘지뢰밭’은 8∼9일로 예정된 서별관회의 청문회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더민주 등 야권은 청와대 서별관 회의에서 대우조선해양의 부실을 알면서도 막대한 자금 지원이 결정됐다는 의혹을 제기해 왔다. 특히 서별관 회의 멤버로 최경환 당시 기획재정부장관 겸 경제부총리와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등의 증인 채택이 불발됐지만, 박근혜정부 핵심 실세들이 부당 지원 결정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규명하는 데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12일 열리는 백남기 청문회에서도 야권의 파상 공세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백남기 씨는 지난해 시위 도중 경찰의 물포에 맞아 의식 불명 상태에 빠져 있다. 이번 청문회에는 당시 경찰 총수였던 강신명 전 경찰청장이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다.
5일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이정현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 대해 “명연설”이라고 극찬했다.
정 원내대표는 “야당이 ‘국정의 한 축’이라는 책임감 가지고 국정에 임해주기를 바란다”며 이 대표의 연설을 계기로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ㆍ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대한 해임결의안 제출을 철회하고, 협치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그러나 야당은 이 대표의 연설 도중 야유를 보내는 등 노골적인 비난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향후 국회가 ‘강경대치’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실제 이날 연설에서 이 대표가 안보를 위한 초당적 협력을 강조하자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안보를 위해서 그러면 안 된다”고 반발했다. 같은당 변재일 의원도 이 대표가 노동개혁법안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도중 “아무것도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핀잔을 줬고 조응천 의원의 경우, “공부 좀 하시오”라며 빈정대기까지 했다.
특히 ‘조선·해운 구조조정 청문회’(서별관회의 청문회)와 ‘백남기 농민 사건 청문회’ 등 여야가 합의한 청문회는 물론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관련 의혹이 쟁점이 될 운영위원회 등에서 충돌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심지어 야권 일각에선 청문회 ‘창’ 끝을 더 가다듬어야 한다며 청문회 연기론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여야가 강대강으로 치달을 첫 번째 ‘지뢰밭’은 8∼9일로 예정된 서별관회의 청문회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더민주 등 야권은 청와대 서별관 회의에서 대우조선해양의 부실을 알면서도 막대한 자금 지원이 결정됐다는 의혹을 제기해 왔다. 특히 서별관 회의 멤버로 최경환 당시 기획재정부장관 겸 경제부총리와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등의 증인 채택이 불발됐지만, 박근혜정부 핵심 실세들이 부당 지원 결정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규명하는 데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12일 열리는 백남기 청문회에서도 야권의 파상 공세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백남기 씨는 지난해 시위 도중 경찰의 물포에 맞아 의식 불명 상태에 빠져 있다. 이번 청문회에는 당시 경찰 총수였던 강신명 전 경찰청장이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