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국민의당이 최근 현안 대응에서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여 급조된 정당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국민의당은 지난 5일 더불어민주당 및 정의당과 함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해임건의안 채택을 추진하기로 약속했지만, 지난 21일 의원총회 후 돌연 입장을 바꿔 당 차원의 해임건의안 제출을 철회했다.
그러다가 23일 해임건의안 처리 직전 열린 의총에서는 다시 가결 쪽으로 당내 의견이 쏠리면서 결과적으로 며칠 만에 입장을 바꿔 야권공조에 복귀하는 등 갈지자행보를 보였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당초 당내 비중이 높은 농촌 지역구 의원들을 중심으로 해임건의안 제출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김 장관에 대해 부적격 입장을 가졌던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도 어쩔 수 없이 물러나 야권공조 합의를 파기해야 했는데, 다시 호남 민심 등을 감안해 결국 다시 입장을 번복할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민의당이 이처럼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잎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를 놓고도 국민의당은 애초 가장 강경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가 북한 5차 핵실험으로 안보 불안감이 가중되고 여론이 불리하게 흐르자 당론 재검토 의견이 분출되고 선회 기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당 지도부는 이를 소속 의원 개개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존중하고 있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바라보는 국민의 시선은 냉소적이다.
박지원 비대위원장이 지난 24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국민의당은 이런 당이다. 원칙을 지키며 소통하고 설득하고 반대도 인정하는 민주정당"이라고 자화자찬했으나 국가적 현안 대응에서의 일관성 부재와 모호한 정체성 등의 평가는 결과적으로 당 이미지를 깎아내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황주홍 의원은 해임건의안 처리 후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우리는 강 대 강으로 치닫는 극한적 대결정치에 또다시 무릎을 꿇었다"며 "야당으로서도 아집 불통의 박근혜 대통령을 혼내주고 본때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잠시 득의에 찰 수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나라와 야당 측에 무슨 유리가 있을는지 솔직히 나는 잘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전남도당 관계자 는 야권에서 개헌론과 통합경선론을 고리로 한 '제3지대론'이 점차 고개를 드는 상황에서 이렇게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계속보일 경우 당 바깥의 '원심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국민의당은 지난 5일 더불어민주당 및 정의당과 함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해임건의안 채택을 추진하기로 약속했지만, 지난 21일 의원총회 후 돌연 입장을 바꿔 당 차원의 해임건의안 제출을 철회했다.
그러다가 23일 해임건의안 처리 직전 열린 의총에서는 다시 가결 쪽으로 당내 의견이 쏠리면서 결과적으로 며칠 만에 입장을 바꿔 야권공조에 복귀하는 등 갈지자행보를 보였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당초 당내 비중이 높은 농촌 지역구 의원들을 중심으로 해임건의안 제출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김 장관에 대해 부적격 입장을 가졌던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도 어쩔 수 없이 물러나 야권공조 합의를 파기해야 했는데, 다시 호남 민심 등을 감안해 결국 다시 입장을 번복할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민의당이 이처럼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잎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를 놓고도 국민의당은 애초 가장 강경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가 북한 5차 핵실험으로 안보 불안감이 가중되고 여론이 불리하게 흐르자 당론 재검토 의견이 분출되고 선회 기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당 지도부는 이를 소속 의원 개개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존중하고 있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바라보는 국민의 시선은 냉소적이다.
박지원 비대위원장이 지난 24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국민의당은 이런 당이다. 원칙을 지키며 소통하고 설득하고 반대도 인정하는 민주정당"이라고 자화자찬했으나 국가적 현안 대응에서의 일관성 부재와 모호한 정체성 등의 평가는 결과적으로 당 이미지를 깎아내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황주홍 의원은 해임건의안 처리 후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우리는 강 대 강으로 치닫는 극한적 대결정치에 또다시 무릎을 꿇었다"며 "야당으로서도 아집 불통의 박근혜 대통령을 혼내주고 본때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잠시 득의에 찰 수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나라와 야당 측에 무슨 유리가 있을는지 솔직히 나는 잘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전남도당 관계자 는 야권에서 개헌론과 통합경선론을 고리로 한 '제3지대론'이 점차 고개를 드는 상황에서 이렇게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계속보일 경우 당 바깥의 '원심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