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근무자 30.5% 파업 참여… 필수 인력 77% 유지
파업 일주일 이상 장기화땐 피로누적 사고위험 커져
[시민일보=여영준 기자]27일 전국 철도·지하철 노조가 연대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서울 지하철 1~8호선의 파업참가율은 30.5%로 집계됐다.
서울시는 이날 낮 12시 기준 지하철 1∼8호선 근무대상자 7805명 가운데 2380명이 파업에 참여해 30.5%의 파업참가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울메트로(1∼4호선)의 파업참가율이 36.9%(4637명 중 1710명)로 상대적으로 많았고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 파업참가율은 21.1%(3168명 중 670명)로 집계됐다.
이들 파업참여 노조원들은 이날 오전 11시 노조별로 파업 출정식을 열고 성과연봉제 도입 방침 철회 등을 요구했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지난 25일부터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 필수유지인력과 시 직원 등을 투입해 지하철 운행에 차질이 없도록 했다.
이를 통해 시가 확보한 인력은 총 1만2094명으로, 이는 전체 정원의 77.1% 수준이다.
이들은 필수유지인력 5175명(메트로 3226명·도철 1949명), 파업 미참여 인력 2548명(메트로 1675명·도철 873명), 협력업체 1092명(메트로 973명·도철 119명), 퇴직자 143명 등으로 이뤄졌다.
전체 지하철 운행은 1단계 비상수송대책(운행률 80∼85% 달성)에 따라 평시 대비 82% 수준으로 운영 중이다.
다만 파업이 1주일 이상 장기화될 경우 2단계 비상수송대책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는 기관사 피로 누적 등으로 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2단계 대책이란 출퇴근 시간대 운행률은 100%를 목표로 하되, 낮 시간대 운행률을 70% 수준으로 유지하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추가 투입하는 방안이다.
시 관계자는 “인력 공백으로 인한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분야 점검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파업 일주일 이상 장기화땐 피로누적 사고위험 커져
[시민일보=여영준 기자]27일 전국 철도·지하철 노조가 연대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서울 지하철 1~8호선의 파업참가율은 30.5%로 집계됐다.
서울시는 이날 낮 12시 기준 지하철 1∼8호선 근무대상자 7805명 가운데 2380명이 파업에 참여해 30.5%의 파업참가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울메트로(1∼4호선)의 파업참가율이 36.9%(4637명 중 1710명)로 상대적으로 많았고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 파업참가율은 21.1%(3168명 중 670명)로 집계됐다.
이들 파업참여 노조원들은 이날 오전 11시 노조별로 파업 출정식을 열고 성과연봉제 도입 방침 철회 등을 요구했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지난 25일부터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 필수유지인력과 시 직원 등을 투입해 지하철 운행에 차질이 없도록 했다.
이를 통해 시가 확보한 인력은 총 1만2094명으로, 이는 전체 정원의 77.1% 수준이다.
이들은 필수유지인력 5175명(메트로 3226명·도철 1949명), 파업 미참여 인력 2548명(메트로 1675명·도철 873명), 협력업체 1092명(메트로 973명·도철 119명), 퇴직자 143명 등으로 이뤄졌다.
전체 지하철 운행은 1단계 비상수송대책(운행률 80∼85% 달성)에 따라 평시 대비 82% 수준으로 운영 중이다.
다만 파업이 1주일 이상 장기화될 경우 2단계 비상수송대책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는 기관사 피로 누적 등으로 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2단계 대책이란 출퇴근 시간대 운행률은 100%를 목표로 하되, 낮 시간대 운행률을 70% 수준으로 유지하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추가 투입하는 방안이다.
시 관계자는 “인력 공백으로 인한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분야 점검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