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당내에 대선주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기구를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3일 더민주 관계자는 “이달 말 당 전략위원회 산하에 당내 대선 주자 대리인들이 참여하는 경선 룰(규칙) 논의 기구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당헌당규에 의해 대선 1년 전까지는 경선 룰을 확정해야하기 때문에 각 캠프 관계자들을 한 데 모아 목소리를 듣는 '소통 채널'을 만들겠다는 것”이라며 “각 캠프에 참여하고 있는 인사들 중 한명 씩을 모아 별도 기구를 만들고 거기에서 본격적인 룰 협상이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은 섭외 단계"라면서 "대권주자 물망에 오르는 사람들 측을 모두 접촉하겠다"고 덧붙였다.
일단 문재인 전 대표와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김부겸 의원, 이재명 성남시장 등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손학규 전 더민주 상임고문만 참여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손 전 대표 측 인사는 "아직 손 전 대표가 어떤 방식으로 대선에 임할지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라며 "지금 단계에서 손 전 대표 측 인사가 실무기구에 참여를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일축했다.
또 다른 측근 인사는 “손 전 대표가 강진에서 ‘국민지대’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드러내지 않았느냐”며 “그것은 기존의 정당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세력화를 의미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경선룰의 핵심 쟁점은 경선 시기, 권리당원 비율을 포함한 선거인단 구성방식 등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문재인 전 대표를 제외한 다른 후보들은 최대한 경선 시기를 늦출 것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안희정 지사와 이재명 시장 등은 경선이 3월 이전으로 당겨질 경우 지자체장을 사퇴해야 하고, 그러면 재보궐 선거가 열리게 된다는 점에서 내년 4월 이후 경선을 희망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경선방식의 경우 더민주는 당규상 완전 국민경선(국민들로만 선거인단을 구성) 혹은 국민참여경선(당원과 국민이 일정 비율로 선거인단을 구성) 중 택하도록 돼 있다.
전통적으로는 친노진영이 국민경선을, 비노진영이 당원들이 포함된 국민참여경선을 선호했지만, 지난해 분당사태 이후 신규 당원들 대부분이 친노성향이어서 오히려 당원들이 많이 포함되는 것이 친노진영에 유리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3일 더민주 관계자는 “이달 말 당 전략위원회 산하에 당내 대선 주자 대리인들이 참여하는 경선 룰(규칙) 논의 기구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당헌당규에 의해 대선 1년 전까지는 경선 룰을 확정해야하기 때문에 각 캠프 관계자들을 한 데 모아 목소리를 듣는 '소통 채널'을 만들겠다는 것”이라며 “각 캠프에 참여하고 있는 인사들 중 한명 씩을 모아 별도 기구를 만들고 거기에서 본격적인 룰 협상이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은 섭외 단계"라면서 "대권주자 물망에 오르는 사람들 측을 모두 접촉하겠다"고 덧붙였다.
일단 문재인 전 대표와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김부겸 의원, 이재명 성남시장 등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손학규 전 더민주 상임고문만 참여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손 전 대표 측 인사는 "아직 손 전 대표가 어떤 방식으로 대선에 임할지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라며 "지금 단계에서 손 전 대표 측 인사가 실무기구에 참여를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일축했다.
또 다른 측근 인사는 “손 전 대표가 강진에서 ‘국민지대’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드러내지 않았느냐”며 “그것은 기존의 정당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세력화를 의미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경선룰의 핵심 쟁점은 경선 시기, 권리당원 비율을 포함한 선거인단 구성방식 등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문재인 전 대표를 제외한 다른 후보들은 최대한 경선 시기를 늦출 것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안희정 지사와 이재명 시장 등은 경선이 3월 이전으로 당겨질 경우 지자체장을 사퇴해야 하고, 그러면 재보궐 선거가 열리게 된다는 점에서 내년 4월 이후 경선을 희망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경선방식의 경우 더민주는 당규상 완전 국민경선(국민들로만 선거인단을 구성) 혹은 국민참여경선(당원과 국민이 일정 비율로 선거인단을 구성) 중 택하도록 돼 있다.
전통적으로는 친노진영이 국민경선을, 비노진영이 당원들이 포함된 국민참여경선을 선호했지만, 지난해 분당사태 이후 신규 당원들 대부분이 친노성향이어서 오히려 당원들이 많이 포함되는 것이 친노진영에 유리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