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진='택시운전사' 스틸컷) |
‘택시운전사’는 1980년 5월, 서울의 택시운전사 만섭(송강호)이 통금시간 전까지 광주에 다녀오면 큰돈을 준다는 말에, 독일기자 피터(토마스 크레취만)를 태우고 아무것도 모른 채 광주로 가게 된 이야기를 그렸다.
‘택시운전사’는 비범한 인물이나 특별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아닌 평범한 택시운전사 만섭을 통해 1980년 광주를 그려낸다. 이는 관객들이 작품을 감상할 때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는 요소.
무엇보다 영화는 광주 민주화 운동을 다뤘던 타 영화들과는 달리 유쾌한 흐름과 일상적인 면을 담아냈다. 만섭을 분한 송강호는 고창석과 소소한 일상 ‘케미’를 시작으로 각기 다른 인물들과 호흡을 선보이며 재미를 배가시킨다. 게다가 실화를 바탕으로 구성한 작품인 만큼 리얼리티 또 한 놓치지 않아 몰입이 수월하다.
비극적인 소재를 다루지만 유쾌한 면을 부각시키는 것은 감독과 배우의 의도가 숨어있다. 송강호는 이를 두고 영화가 ‘지향하는바’으로 꼽았다. ‘택시운전사’는 아픈 역사를 들춰내고 풀어내고자 함이 아닌 역사를 잊지 않으며 앞으로를 바라보고자 하는 소망을 그려냈기 때문.
영화의 이런 요소들을 부각시켜주는 포인트는 연출에 있다. 작품은 색감, 구도 등을 통해 직감적인 변화를 만들어 인물에 쉽게 이입할 수 있도록 이끌어낸다. 여기에 명배우들의 호연이 더해져 몰입도를 더하고 실제 같은 ‘택시운전사’ 세상을 구축한다.
‘택시운전사’는 시간을 넘어 운행중이다. 공감과 위로, 웃음까지 모두 선사할 영화 ‘택시운전사’가 앞으로 한국 영화계에 보여줄 반향이 기대된다. 8월 2일 개봉.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