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 대통령, 중국의 사드보복 문제는 거론조차 못해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와 관련해 우리 측에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한 것으로 알려져 청와대가 난감한 상황에 빠졌다.
이는 ‘사드는 정상회담 의제가 아니다’라는 청와대 측 설명과 배치되는 발언이기 때문이다.
특히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이 정상회담 직후 브리핑한 내용과도 다른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결국 윤 수석은 한밤중에 다시 해명하는 브리핑을 해야만 했다.
윤 수석은 당초 현지 시각 11일 오후 7시 20분쯤 다낭 현지에서 정상회담 직후 결과에 대한 브리핑을 통해 "양 정상은 당초 예정됐던 시간을 20분 넘겨 한·중 관계 발전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며 "사드 문제와 관련, 10월 31일 공개한 '양국 관계 개선 방안에 관한 발표 내용'을 평가하고, 양국이 모든 분야에서의 교류 협력을 정상 궤도로 조속히 회복시키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시 주석은 '새로운 출발이고 좋은 시작'이라고 평가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 외교부가 11일 홈페이지에 소개한 정상회담 내용은 달랐다.
시진핑 주석은 “중대한 이해관계와 관련된 문제(사드배치)를 두고 양측은 역사와 중·한 관계, 양국 인민에게 책임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면서 “역사의 시험을 감당할 수 있는 결정을 내려 중·한 관계가 올바른 길로 가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초 청와대의 예상과 달리 사드 문제가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상당한 비중으로 다뤄졌을 뿐만 아니라, 시 주석은 사드를 중국의 '핵심 이익'이라면서 '중대한 우려를 존중'하라고 압박한 것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사드는 중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는 입장만 거듭 밝혔을 뿐, 정작 중국이 우리에게 가했던 사드 보복 문제는 이날 거론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