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박완주 의원 | ||
당시 최경환 의원은 국가 예산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었다. 박근혜 정부의 경제수장을 둘러싼 ‘쌈짓돈 의혹’이 연일 증폭되고 있는 만큼, 검찰은 더욱 철저하고 기민한 수사에 나서야 할 것이다.
‘쌈짓돈 의혹’은 비단 최경환 의원뿐만이 아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지난 2015년 5월 성완종 리스트 검찰 수사 당시, 2011년 한나라당 경선 기탁금 1억2000만원의 출처에 대해 “이전 변호사 활동 당시 모은 돈을 포함해 여당 원내대표 겸 국회 운영위원장에게 주는 특수활동비 중 남은 돈을 아내에게 줬고, 그 돈을 모아 비자금으로 만들었다”고 해명한 바 있다.
그러나 홍 대표는 국정원 특수활동비 의혹이 불거지자 지난 주말, 아내에게 준 돈은 특수활동비가 아닌 본인 급여라고 돌연 말을 바꾸면서 오히려 ‘도둑이 제발 저리 듯’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홍 대표의 일관성 없는 해명은 오히려 수사당국의 진상조사 필요성만 키우고 있을 뿐이다. 불법의혹을 받고 있는 당사자로서 상황에 따라 입장을 바꾸는 공당 대표의 해명을 국민이 과연 신뢰할 수 있을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검찰은 즉각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경환의원, 홍준표 대표의 특수활동비 횡령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에 전면적으로 나서야 한다. 국민의 혈세가 단 1원이라도 허투루 낭비되는 일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권력자들의 쌈짓돈’으로 전락해버린 특수활동비 집행의 투명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