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 항공MRO사업 유치 물꼬 트다

    지방의회 / 최성일 기자 / 2017-12-21 13:43:30
    • 카카오톡 보내기
    사천시-KAI 사업자로 선정
    건의문채택 등 의정활동 성과


    [창원=최성일 기자] 경남도의회 의원들은 도가 그 동안 도정 핵심 사업이자 역점적으로 추진해왔던 항공MRO사업과 관련해 지난 19일 국토부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최종 사업자로 선정한 것에 대해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앞서 도의회는 도정질문, 5분자유발언, 대정부 건의문 채택, 중앙부처 건의 등 항공MRO사업의 경남 사천시 유치를 위해 다양한 의정활동을 펼쳐 항공MRO사업자 선정의 견인차 역할을 주도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항공우주산업의 방산비리로 항공MRO사업자 선정에 차질을 빚게 되자 박동식 의장을 비롯한 경제환경위원회 의원들이 지난 8월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공정하고 차질 없는 사업자 선정을 촉구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당초 지역균형발전과 지방공항 활성화차원에서 시작된 항공 MRO사업의 경남 사천지역 유치는 향후 항공 국가산단, 항공 특화단지, 그리고 항공 ICT융복합 클러스터 조성과 연계해 사천·진주 중심의 인구 100만 신도시, 한국의 시애틀로 발전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항공MRO사업은 민수확대를 통한 항공산업 규모(PIE)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항공 민수부문과 군수부문의 4대 6 구조를 6 대 4 비율로 개편해 민수부문의 획기적인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동북아 항공MRO 시장은 연평균 5.4% 성장이 예상되며, 항공 MRO산업은 전기·전자 등과 결합된 고부가가치 종합산업이자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경남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항공 ICT융합 클러스터 조성사업과 연계해 항공전자 인력양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도의회는 앞으로 항공 MRO사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먼저 정부(국토부)에서는 당초 지원규모가 1000억원 대에서 300억원으로 축소됐는데 지원규모를 싱가폴 등 항공MRO산업 선진국 수준으로 국가차원의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아울러 도가 실질적인 항공산업의 메카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항공MRO사업뿐만 아니라, 항공 국가산업단지, 항공우주산업 특화단지, 항공ICT 융합 클러스터 조성, 무인항공기 클러스터 등 도 차원의 산업 인프라 육성도 차질 없이 추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