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학대치사 입증 어려워”
[시민일보=이대우 기자]군산 한 야산에 유기된 고준희양(5)의 사망 경위 등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고양의 친부인 고 모씨(37)와 내연녀는 사망한 고양의 시신을 암매장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고양의 사망경위에 대해서는 입을 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숨진 고양이 고씨와 내연녀 이 모씨(36)로부터 여러 차례 폭행을 당한 것까지는 파악했으나 사망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밝히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3일 전주 덕진경찰서에 따르면 고씨와 이씨의 어머니 김 모씨(62)는 숨진 고양을 군산 한 야산에 암매장한 사실을 인정했다.
고씨는 "4월 26일 오전에 준희가 죽은 것을 알고 김씨 집에 시신을 맡겼다. 시신 처리 문제를 고민하다가 이튿날 준희를 산에 묻었다"고 진술했다.
내연녀 이씨도 경찰 조사 과정에서 시신 유기에 가담한 사실을 뒤늦게 인정했다.
그러나 이들 모두 준희양이 사망에 이른 경위에 대해서는 입을 열지 않고 있는 데다가 1차 부검결과에서도 사망 경위를 밝힐 단초는 나오지 않았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한 준희양 시신 1차 부검결과가 친부 등에 의한 살해나 폭행치사 혐의를 입증하는 결정적 증거로 볼 수는 없다는 게 경찰 판단이다.
구속 기한 만료 시점 등으로 인해 이번 사건을 5일까지 검찰에 송치해야 하는 경찰은 강도 높은 조사를 통해 고양의 정확한 사망 경위를 밝힌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추가 자백이 나오지 않는다면 물리적인 시간 부족 등으로 살해나 학대치사 혐의 입증은 쉽지 않아 보인다. 고양의 시신은 친모 가족이 화장하면서 추가 물증 확보도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경찰 관계자는 "관련자 모두 시신 유기 혐의는 인정하고 있으나 준희양 사망 경위에 대한 직접적인 진술은 피하고 있다"며 "자백이 없다면 시신 유기보다 무거운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이번 주 안에 수사를 마무리하고 사건을 검찰에 송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현재까지 나온 진술과 증거를 토대로 4일 오전 준희양이 숨진 완주 한 아파트에서 우선 시신 유기 부분에 대한 현장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시민일보=이대우 기자]군산 한 야산에 유기된 고준희양(5)의 사망 경위 등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고양의 친부인 고 모씨(37)와 내연녀는 사망한 고양의 시신을 암매장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고양의 사망경위에 대해서는 입을 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숨진 고양이 고씨와 내연녀 이 모씨(36)로부터 여러 차례 폭행을 당한 것까지는 파악했으나 사망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밝히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3일 전주 덕진경찰서에 따르면 고씨와 이씨의 어머니 김 모씨(62)는 숨진 고양을 군산 한 야산에 암매장한 사실을 인정했다.
고씨는 "4월 26일 오전에 준희가 죽은 것을 알고 김씨 집에 시신을 맡겼다. 시신 처리 문제를 고민하다가 이튿날 준희를 산에 묻었다"고 진술했다.
내연녀 이씨도 경찰 조사 과정에서 시신 유기에 가담한 사실을 뒤늦게 인정했다.
그러나 이들 모두 준희양이 사망에 이른 경위에 대해서는 입을 열지 않고 있는 데다가 1차 부검결과에서도 사망 경위를 밝힐 단초는 나오지 않았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한 준희양 시신 1차 부검결과가 친부 등에 의한 살해나 폭행치사 혐의를 입증하는 결정적 증거로 볼 수는 없다는 게 경찰 판단이다.
구속 기한 만료 시점 등으로 인해 이번 사건을 5일까지 검찰에 송치해야 하는 경찰은 강도 높은 조사를 통해 고양의 정확한 사망 경위를 밝힌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추가 자백이 나오지 않는다면 물리적인 시간 부족 등으로 살해나 학대치사 혐의 입증은 쉽지 않아 보인다. 고양의 시신은 친모 가족이 화장하면서 추가 물증 확보도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경찰 관계자는 "관련자 모두 시신 유기 혐의는 인정하고 있으나 준희양 사망 경위에 대한 직접적인 진술은 피하고 있다"며 "자백이 없다면 시신 유기보다 무거운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이번 주 안에 수사를 마무리하고 사건을 검찰에 송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현재까지 나온 진술과 증거를 토대로 4일 오전 준희양이 숨진 완주 한 아파트에서 우선 시신 유기 부분에 대한 현장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