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여영준 기자] 자유한국당 김성원 대변인이 7일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과 관련, "일자리 정부가 되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약속은 허언"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논평을 통해 "외환위기 이후 최악이라는 청년실업률이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청년 실업률은 9.2%로 IMF 외환위기 시기인 1999년 이후 가장 높았다. 체감실업률 역시 21.4%에 달했다"며 "청년 다섯명 중 한명이 실업자인 셈"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국내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할 기업들이 해외로 나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국내 직원이 8000명 늘어날 때 해외 직원은 7만명에서 21만명으로 3배나 증가했다"며 "또 현대자동차는 22년째 국내에 추가로 공장을 만들지 않고 있고, 중소기업도 마찬가지로 해외로 생산 시설을 이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기업가들과 교류할 수 있는 행사였던 대한상공회의소 신년 인사회에 불참했는데 비서실장은 SK 최태원 회장과 비공개로 만났다고 한다"며 "이처럼 앞뒤 안 맞는 행동을 보이고 있는 문재인 정부가 기업 환경을 개선하겠다는 의지가 있는지 국민들께서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정권 창출에 기여했다고 해서 국민 혈세로 전리품 나눠주듯이 일자리를 분배하면 결국 국민적 저항에 부딪힐 것이라는 걸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논평을 통해 "외환위기 이후 최악이라는 청년실업률이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청년 실업률은 9.2%로 IMF 외환위기 시기인 1999년 이후 가장 높았다. 체감실업률 역시 21.4%에 달했다"며 "청년 다섯명 중 한명이 실업자인 셈"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국내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할 기업들이 해외로 나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국내 직원이 8000명 늘어날 때 해외 직원은 7만명에서 21만명으로 3배나 증가했다"며 "또 현대자동차는 22년째 국내에 추가로 공장을 만들지 않고 있고, 중소기업도 마찬가지로 해외로 생산 시설을 이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기업가들과 교류할 수 있는 행사였던 대한상공회의소 신년 인사회에 불참했는데 비서실장은 SK 최태원 회장과 비공개로 만났다고 한다"며 "이처럼 앞뒤 안 맞는 행동을 보이고 있는 문재인 정부가 기업 환경을 개선하겠다는 의지가 있는지 국민들께서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정권 창출에 기여했다고 해서 국민 혈세로 전리품 나눠주듯이 일자리를 분배하면 결국 국민적 저항에 부딪힐 것이라는 걸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