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인 “구체적 감염경로 밝혀지지 않아”
[시민일보=이대우 기자]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연쇄 사망사건 당시 신생아중환자실 실장이자 주치의였던 조수진 교수가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16일 피의자 신분으로 경찰에 출석했다.
이날 낮 12시45분께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에 출석한 조 교수는 ‘관리·감독 책임이 있다고 보느냐’와 ‘사건 당일 어떻게 보고 받았나’, ‘유가족에게 사과 한마디 안 했는데’ 등의 취재진 질문에 "죄송합니다"라고만 대답했다.
다만 조 교수를 응대한 변호인 이성희 변호사는 "지금까지 수사에서 구체적인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았는데 이 부분이 (조 교수의 관리·감독 책임을 묻기에 앞서)먼저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병원의 전반적인 직제를 봐야 하며, 상급의료기관으로 지정받을 때 배정받은 예산을 어떻게 지출해왔는지 등 총괄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단순히 현장에 있었던 간호사, (중환자실)실장에게 모든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은 조금 그렇다(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 변호사는 사건 당일 상황과 관련 “전공의가 오전 11시에 (신생아들)호흡이 이상하다고 해서 (조 교수가)조치를 해서 상태가 좋아졌고, 이어 항생제 투여를 위해 균 배양 검사를 했다”며 “균 배양 결과가 안타깝게도 사망 후에 나왔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이날 조 교수를 상대로 신생아들이 오염된 주사제를 맞고 사망하기까지의 정황과 관리책임을 다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바이알(유리병) 1병에 담긴 주사제가 환아 여러 명에게 나눠 투여된 점, 전공의들 다수가 당직근무에서 빠지는 등 신생아 중환자실이 비정상적으로 운영된 점에 대해서도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 |
||
▲ 16일 오후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주치의 조수신 교수가 서울지방경찰청에 들어서고 있다. 오른쪽은 조 교수의 개인변호사인 이성호 변호사.(사진제공=연합뉴스) |
이날 낮 12시45분께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에 출석한 조 교수는 ‘관리·감독 책임이 있다고 보느냐’와 ‘사건 당일 어떻게 보고 받았나’, ‘유가족에게 사과 한마디 안 했는데’ 등의 취재진 질문에 "죄송합니다"라고만 대답했다.
다만 조 교수를 응대한 변호인 이성희 변호사는 "지금까지 수사에서 구체적인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았는데 이 부분이 (조 교수의 관리·감독 책임을 묻기에 앞서)먼저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병원의 전반적인 직제를 봐야 하며, 상급의료기관으로 지정받을 때 배정받은 예산을 어떻게 지출해왔는지 등 총괄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단순히 현장에 있었던 간호사, (중환자실)실장에게 모든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은 조금 그렇다(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 변호사는 사건 당일 상황과 관련 “전공의가 오전 11시에 (신생아들)호흡이 이상하다고 해서 (조 교수가)조치를 해서 상태가 좋아졌고, 이어 항생제 투여를 위해 균 배양 검사를 했다”며 “균 배양 결과가 안타깝게도 사망 후에 나왔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이날 조 교수를 상대로 신생아들이 오염된 주사제를 맞고 사망하기까지의 정황과 관리책임을 다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바이알(유리병) 1병에 담긴 주사제가 환아 여러 명에게 나눠 투여된 점, 전공의들 다수가 당직근무에서 빠지는 등 신생아 중환자실이 비정상적으로 운영된 점에 대해서도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