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불법자금 수수 혐의
“업무상횡령 혐의 소명… 증거인멸 우려 있어”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이명박 전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과 이명박 정부시절 청와대 민정비서관으로 재직한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이 구속됐다. 이들은 구체적인 액수와 정황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국정원 불법 자금 수수 혐의를 받는다.
김진모 전 비서관은 16일, 김백준 전 기획관은 17일 각각 구속이 결정됐다.
먼저 김 전 비서관의 경우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으로부터 5000만원 이상의 불법 자금을 수수한 혐의(특정법죄가중처벌법상 뇌물·업무상 횡령)를 받고 있다.
권순호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16일 "업무상횡령 부분에 관해 혐의 소명이 있고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다"며 검찰이 청구한 김 전 비서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검찰에 따르면 김 전 비서관은 2009~2011년 청와대 파견 근무 당시 '민간인 사찰' 의혹을 폭로한 장진수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을 국정원이 지원한 특활비 5000만원으로 '입막음'하는 데 관여한 의혹을 받는다.
17일에는 김백준 기획관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됐다. 오민석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죄를 범했다고 의심할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다"라고 구속 사유를 밝혔다.
김 전 기획관은 이 전 대통령 재임 기간 재무 등 안살림을 총괄한 'MB집사'로 알려진 인물로, 2008년 5월께 청와대 근처 주차장에서 국정원 예산 담당관으로부터 현금 2억원이 든 쇼핑백을 받는 등 국정원 측에서 총 4억원 이상의 불법 자금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다.
김 전 기획관은 검찰 조사와 법원 영장심사에서 일체의 금품을 수수한 사실이 없다는 취지로 진술하면서 혐의를 전면 부인했지만 법원은 구속을 결정했다.
검찰은 김성호·원세훈 두 전직 국정원장들로부터 김 전 기획관에게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전용해 조성한 자금을 건넨 것으로 보고받았다는 진술을 나란히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명박 정부 시절 측근 인사가 나란히 구속되면서 이들에 대한 신병을 확보한 검찰의 수사가 속도를 낼 전망이다.
특히 'MB 집사'로 불리는 김 전 기확관에 대한 검찰의 강도 높은 수사가 예상되는 만큼 검찰 수사가 이 전 대통령을 향해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김 전 기획관은 물론 이 전 대통령 측 역시 관련 혐의를 강력하게 부인하는 입장이어서 검찰과 날 선 공방이 예상된다.
“업무상횡령 혐의 소명… 증거인멸 우려 있어”
![]() |
||
▲ (왼쪽부터)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사진제공=연합뉴스) |
김진모 전 비서관은 16일, 김백준 전 기획관은 17일 각각 구속이 결정됐다.
먼저 김 전 비서관의 경우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으로부터 5000만원 이상의 불법 자금을 수수한 혐의(특정법죄가중처벌법상 뇌물·업무상 횡령)를 받고 있다.
권순호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16일 "업무상횡령 부분에 관해 혐의 소명이 있고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다"며 검찰이 청구한 김 전 비서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검찰에 따르면 김 전 비서관은 2009~2011년 청와대 파견 근무 당시 '민간인 사찰' 의혹을 폭로한 장진수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을 국정원이 지원한 특활비 5000만원으로 '입막음'하는 데 관여한 의혹을 받는다.
17일에는 김백준 기획관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됐다. 오민석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죄를 범했다고 의심할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다"라고 구속 사유를 밝혔다.
김 전 기획관은 이 전 대통령 재임 기간 재무 등 안살림을 총괄한 'MB집사'로 알려진 인물로, 2008년 5월께 청와대 근처 주차장에서 국정원 예산 담당관으로부터 현금 2억원이 든 쇼핑백을 받는 등 국정원 측에서 총 4억원 이상의 불법 자금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다.
김 전 기획관은 검찰 조사와 법원 영장심사에서 일체의 금품을 수수한 사실이 없다는 취지로 진술하면서 혐의를 전면 부인했지만 법원은 구속을 결정했다.
검찰은 김성호·원세훈 두 전직 국정원장들로부터 김 전 기획관에게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전용해 조성한 자금을 건넨 것으로 보고받았다는 진술을 나란히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명박 정부 시절 측근 인사가 나란히 구속되면서 이들에 대한 신병을 확보한 검찰의 수사가 속도를 낼 전망이다.
특히 'MB 집사'로 불리는 김 전 기확관에 대한 검찰의 강도 높은 수사가 예상되는 만큼 검찰 수사가 이 전 대통령을 향해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김 전 기획관은 물론 이 전 대통령 측 역시 관련 혐의를 강력하게 부인하는 입장이어서 검찰과 날 선 공방이 예상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