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7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이 연 신세계이마트 부당노동행위 고발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부당노동행위 진상조사와 엄중한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
이날 마트노조는 고발장 제출에 앞서 서울 중구 서울고용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조가 이마트의 ‘주 35시간 근로시간제’는 최저임금 인상 효과를 무력화하려는 꼼수라고 폭로하자 사측이 보복성 조치로 탄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사측이 새로 설립된 이마트지부 수원·반야월·평택지회의 지회장과 사무장 등 14명을 소속 지점 내 다른 부서로 갑자기 발령냈다는 게 노조 측의 주장이다.
노조는 “신세계·이마트식 최저임금 꼼수와 전면적인 부당노동행위는 문재인 정부의 노동존중사회 실현 정책에 반하는 행태”라며 “정부는 진상조사와 처벌로 민주적으로 노조할 권리를 철저히 보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노조는 사측이 최저임금 1만원이 될 2020년에 노동자 1명당 월 26만원을 적게 지급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놓은 것일 뿐이며, 업무 총량이 줄지 않아 노동강도가 크게 높아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이마트 관계자는 “이마트는 특정 직원이 노조에 가입돼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지 않으며, 이번 발령은 점포 영업환경이나 인력을 고려해 정상적으로 진행된 것이지 노조 가입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반박했다.
신세계그룹은 장시간 근로를 줄여 일과 삶이 균형을 이루는 기업문화를 만들고자 올해부터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보다 적은 주 35시간 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세계그룹은 장시간 근로를 줄여 일과 삶이 균형을 이루는 기업문화를 만들고자 올해부터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보다 적은 주 35시간 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노조에 따르면 올해 들어 사측이 주 35시간 근로시간제를 시행하자, 노동강도가 크게 높아졌으며, 이에 근로자들의 이마트지부 가입이 늘어났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