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고려대
일본 학도병 강제동원 실태
정부 최초 진상보고서 발간
![]() |
||
▲ 1940년대 일본이 '학도지원병'이라는 명목으로 우리나라의 학생과 청년 4천385명을 태평양전쟁에 강제 동원한 구체적인 사실이 정부 보고서를 통해 공개됐다.(사진제공=연합뉴스) |
[시민일보=이진원 기자]행정안전부가 최근 1940년대 일본이 ‘학도지원병’이란 명목으로 우리나라 학생과 청년 4385명을 태평양 전쟁에 강제 동원했다는 내용을 담은 진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는 행안부 과거사업무지원단과 고려대가 지난해 10~12월 함께 진행한 진상조사 결과를 담은 것이다.
행안부는 “지금까지 학도병으로 동원된 조선인은 4385명으로 추정됐을 뿐 구체적인 자료가 없었다”며 “이번 보고서는 피해 실태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부적으로 정부는 해당 보고서를 통해 ▲제도 시행 배경 ▲동원 규모 ▲부대배치 실태 ▲생존자 회고록 ▲일본군 부대 명부 등에 담긴 학도병 동원 피해 실태를 다뤘다.
먼저 보고서는 학도병 동원 대상자로 지목된 총 6203명 가운데 70%에 해당하는 4385명이 군인으로 차출됐다며, 이는 실질적인 강제동원이라고 지적했다.
당시 동원된 학도병들은 1944년 1월20일 일본권 부대에 입영 후 훈련을 받고, 각지에 배치됐다. 이 중 절반가량은 일본에, 30% 가량은 중국 전선, 나머지는 한반도내에 잔류한 것으로 확인됐다. 학도병을 거부한 청년들은 군수공장 등지로 보내지기도 했다.
정부 당국은 이번 보고서 발간을 위해 ▲육군특별지원병임시채용규칙 ▲매일신보(조선총독부 기관지) ▲1·20 동지회(학도병 출신자 모임) 회고록 ▲한국 광복군·독립유공자 명부 ▲조선인강제연행진상조사단 명부 ▲일본군 부대 명부 등을 폭넓게 들여다봤다.
이를 통해 학도병 가운데 일본군을 탈출해 광복군에 참가한 이가 43명,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은 사람이 71명인 사실도 확인했다.
행안부는 “이번에 발굴된 자료 중에는 전선 배치 이후 탈출해 광복군 등 소속으로 독립운동을 펼친 이들의 기록도 상당수 포함됐다”며 “앞으로 독립유공자 포상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발굴된 기록에 따르면 독립운동가 중에는 평양 출신이었던 고(故) 김준엽 전 고려대학교 총장은 1944년 1월20일 입영해 중국 안동과 상해관을 거쳐 보병으로 서주에 배치됐으나, 부대를 탈출 한국 광복군에 합류했다.
평안북도 삭주가 본적인 고 장준하 선생도 1944년 7월 중국 서주에서 탈출해 자유의 몸이 된 것으로 기록됐다. 그 역시 광복군으로 활동하다 해방을 맞았다.
행안부는 “꽃다운 청년을 전장에 내몰아 희생시킨 일본이 우리나라에 끼친 강제동원 피해를 사실대로 정확히 밝혀내야 한다"며 "앞으로 진실규명에 적극 나서겠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