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미래 “거대정당 갑질이다” 맹비난
통합신당, 미래당 당명사용 난항 예상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지난해 3월 20~30대 청년들이 주축이 돼 창당한 ‘우리미래’가 정당약칭 ‘미래당’을 중앙선관위에 제출함에 따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신당인 미래당과 당명을 놓고 갈등양상을 보이고 있다.
청년정당 우리미래는 6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신당인 미래당을 향해 "당명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리미래는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통합신당이 당명을 '미래당'으로 정하면서 청년정당 우리미래는 당의 생존위협을 느낀다"며 이 같이 밝혔다.
김소희 우리미래 대변인은 "'우리미래'와 '미래당'이 유권자들에게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당직자들은 심각한 위기를 느낀다"며 "마치 슈퍼를 개업했는데 바로 앞에 대형마트가 들어선 기분"이라고 전했다.
이어 "우리미래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청년 기초의원 후보를 출마시킬 예정"이라며 "선거운동원들이 '우리미래당을 지지해달라'고 했을 때 유권자들이 '청년정당 우리미래'로 인식할 지 아니면 '통합신당 미래당'으로 인식할 지 난감한 일이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결국 혼선과 피해는 인지도가 낮은 '우리미래'가 감당해야 될 것"이라며 "이것이 거대정당의 갑질"이라고 날을 세웠다.
특히 김 대변인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우리미래’의 존재를 사전에 알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우리미래 측에 따르면, 안 대표는 지난해 3월 우리미래 주최 정책토론회에 메인 패널로 참여하는 한편, 우리미래당 정책팀장은 안 대표가 참석한 국민의당 행사에 초청받은 적도 있다.
김 대변인은 "이는 도의적인 면에서도 적절하지 않은 결정"이라며 "청년정당 우리미래를 같은 정당으로 존중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미래는 지난 5일 중앙선관위 안내에 따라 약칭당명을 '미래당'으로 등록하는 절차를 이미 밟았다"면서 "이런 일련의 노력에도 불구 통합신당 '미래당'명이 등록된다면, '명칭사용금지 가처분신청', '행정소송' 등 모든 법적 절차를 통해서라도 청년정당 우리미래를 지킬 것"이라고 강경대응 방침을 밝혔다.
특히 우리미래는 국민의당 당사 앞에서 '우리미래 당명사수를 위한 100시간 철야 1인시위 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이다.
한편 통합신당과 우리미래당 모두가 전날 접수시간 마감인 6시 이후에 접수신청을 하면서, 이들의 약칭은 6일 오전에 동시에 선관위에 접수됐다. 정당법에 따르면 선관위는 정당 약칭을 접수된 지 7일 이내에 판단해야 한다.
정당법에 따르면 정당명칭은 약칭을 포함해 이미 사용 중인 명칭과 뚜렷이 구별돼야 한다. 선관위 관계자는 “우리미래당의 신청을 받아들일 경우 미래당은 당명을 사용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총선 직전 새정치민주연합에서 이름을 변경한 더불어민주당도 민주당이라는 당명이 먼저 등록이 돼 있어 한동안 민주당이라는 약칭을 쓰지 못한 바 있다.
통합신당, 미래당 당명사용 난항 예상
![]() |
청년정당 우리미래는 6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신당인 미래당을 향해 "당명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리미래는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통합신당이 당명을 '미래당'으로 정하면서 청년정당 우리미래는 당의 생존위협을 느낀다"며 이 같이 밝혔다.
김소희 우리미래 대변인은 "'우리미래'와 '미래당'이 유권자들에게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당직자들은 심각한 위기를 느낀다"며 "마치 슈퍼를 개업했는데 바로 앞에 대형마트가 들어선 기분"이라고 전했다.
이어 "우리미래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청년 기초의원 후보를 출마시킬 예정"이라며 "선거운동원들이 '우리미래당을 지지해달라'고 했을 때 유권자들이 '청년정당 우리미래'로 인식할 지 아니면 '통합신당 미래당'으로 인식할 지 난감한 일이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결국 혼선과 피해는 인지도가 낮은 '우리미래'가 감당해야 될 것"이라며 "이것이 거대정당의 갑질"이라고 날을 세웠다.
특히 김 대변인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우리미래’의 존재를 사전에 알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우리미래 측에 따르면, 안 대표는 지난해 3월 우리미래 주최 정책토론회에 메인 패널로 참여하는 한편, 우리미래당 정책팀장은 안 대표가 참석한 국민의당 행사에 초청받은 적도 있다.
김 대변인은 "이는 도의적인 면에서도 적절하지 않은 결정"이라며 "청년정당 우리미래를 같은 정당으로 존중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미래는 지난 5일 중앙선관위 안내에 따라 약칭당명을 '미래당'으로 등록하는 절차를 이미 밟았다"면서 "이런 일련의 노력에도 불구 통합신당 '미래당'명이 등록된다면, '명칭사용금지 가처분신청', '행정소송' 등 모든 법적 절차를 통해서라도 청년정당 우리미래를 지킬 것"이라고 강경대응 방침을 밝혔다.
특히 우리미래는 국민의당 당사 앞에서 '우리미래 당명사수를 위한 100시간 철야 1인시위 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이다.
한편 통합신당과 우리미래당 모두가 전날 접수시간 마감인 6시 이후에 접수신청을 하면서, 이들의 약칭은 6일 오전에 동시에 선관위에 접수됐다. 정당법에 따르면 선관위는 정당 약칭을 접수된 지 7일 이내에 판단해야 한다.
정당법에 따르면 정당명칭은 약칭을 포함해 이미 사용 중인 명칭과 뚜렷이 구별돼야 한다. 선관위 관계자는 “우리미래당의 신청을 받아들일 경우 미래당은 당명을 사용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총선 직전 새정치민주연합에서 이름을 변경한 더불어민주당도 민주당이라는 당명이 먼저 등록이 돼 있어 한동안 민주당이라는 약칭을 쓰지 못한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