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학교 고농도 미세먼지 대책 시행
2200억 규모… 실내 체육시설 설치에 3800억 투입
미세먼지 나쁨때 ‘호흡기 민감 학생’ 질병결석 인정도
[시민일보=이대우 기자]앞으로 미세먼지 민감군 학생들에 대한 '미세먼지 결석'이 인정된다.
또한 정부는 3년 안에 모든 유치원과 초등학교·특수학교 교실에 환기설비나 공기청정기 등 정화장치를 설치한다. 이는 미세먼지에 약한 학생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학교 고농도 미세먼지 대책'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대책에 따르면 교육부는 학교가 호흡기질환 등 민감군 학생들을 학년 초에 파악해 관리하도록 한다. 특히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이상일 경우 민감군 학생이 결석하면 질병 결석으로 인정하도록 훈령을 개정할 예정이다.
또한 교육부는 학교 공기 질 기준이 강화되고 미세먼지가 많은 시기에 학생들이 교실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교실 공기정화장치 설치를 늘린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3월 학교보건법 시행규칙을 바꿔 학교 실내에서 지름 2.5㎛에 못 미치는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35㎍/㎥를 넘지 않도록 기준을 만든 바 있다. 기존에는 10㎛ 이하인 미세먼지 기준(100㎍/㎥)만 있었다.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전국 유치원, 초등학교, 특수학교 교실 16만1713곳 가운데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한 교실이 6767곳(37.6%)인 점을 고려하면 공기정화장치를 새로 들여놔야 하는 교실은 10만곳으로 추산된다.
신축학교는 기계환기설비를 설치하고, 기존학교는 환기설비 설치가 어려우면 공기청정기를 두게 된다.
교육부는 '학교 공기정화장치 설치 및 관리기준'과 교육청별 여건에 따라 2020년까지 공기정화장치 설치를 마무리하기로 하고, 올해는 도로 근처 학교를 비롯해 2700개 학교 교실 3만9000곳에 우선 설치하기로 했다.
교내에 공기정화장치가 1개도 없는 1만2251개 유치원·초중고교의 경우 천식 등 미세먼지 민감군 학생을 위해 학교장이 지정한 장소에 공기정화장치를 먼저 설치하도록 할 계획이다.
공기정화장치 설치에 필요한 예산은 약 2200억원 규모로, 지방비를 통해 조달한다.
이밖에도 미세먼지로 외부수업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 실내체육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예산 3800억원도 지원할 예정이다.
2200억 규모… 실내 체육시설 설치에 3800억 투입
미세먼지 나쁨때 ‘호흡기 민감 학생’ 질병결석 인정도
[시민일보=이대우 기자]앞으로 미세먼지 민감군 학생들에 대한 '미세먼지 결석'이 인정된다.
또한 정부는 3년 안에 모든 유치원과 초등학교·특수학교 교실에 환기설비나 공기청정기 등 정화장치를 설치한다. 이는 미세먼지에 약한 학생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학교 고농도 미세먼지 대책'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대책에 따르면 교육부는 학교가 호흡기질환 등 민감군 학생들을 학년 초에 파악해 관리하도록 한다. 특히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이상일 경우 민감군 학생이 결석하면 질병 결석으로 인정하도록 훈령을 개정할 예정이다.
또한 교육부는 학교 공기 질 기준이 강화되고 미세먼지가 많은 시기에 학생들이 교실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교실 공기정화장치 설치를 늘린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3월 학교보건법 시행규칙을 바꿔 학교 실내에서 지름 2.5㎛에 못 미치는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35㎍/㎥를 넘지 않도록 기준을 만든 바 있다. 기존에는 10㎛ 이하인 미세먼지 기준(100㎍/㎥)만 있었다.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전국 유치원, 초등학교, 특수학교 교실 16만1713곳 가운데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한 교실이 6767곳(37.6%)인 점을 고려하면 공기정화장치를 새로 들여놔야 하는 교실은 10만곳으로 추산된다.
신축학교는 기계환기설비를 설치하고, 기존학교는 환기설비 설치가 어려우면 공기청정기를 두게 된다.
교육부는 '학교 공기정화장치 설치 및 관리기준'과 교육청별 여건에 따라 2020년까지 공기정화장치 설치를 마무리하기로 하고, 올해는 도로 근처 학교를 비롯해 2700개 학교 교실 3만9000곳에 우선 설치하기로 했다.
교내에 공기정화장치가 1개도 없는 1만2251개 유치원·초중고교의 경우 천식 등 미세먼지 민감군 학생을 위해 학교장이 지정한 장소에 공기정화장치를 먼저 설치하도록 할 계획이다.
공기정화장치 설치에 필요한 예산은 약 2200억원 규모로, 지방비를 통해 조달한다.
이밖에도 미세먼지로 외부수업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 실내체육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예산 3800억원도 지원할 예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