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가 마약 '상습투약'… 서울대병원 약물관리 구멍

    사건/사고 / 여영준 기자 / 2018-04-09 09:00:00
    • 카카오톡 보내기

    보건당국, 인력보강 방안 검토… 마약류통합관리 시행효과 기대


    ▲ 지난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지방경찰청에서 광역수사대 박창환 경정이 지난해 12월 이대목동병원에서 발생한 신생아 연쇄 사망사건과 관련한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시민일보=여영준 기자]관행으로 지속된 ‘주사제 나눠쓰기’가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사고의 원인으로 확인된 가운데 서울대병원에서는 간호사가 마약을 상습적으로 투여한 사실이 적발됐다.


    8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찰이 이대목동병원 사고 원인이 주사제 1병을 여러 명에게 나눠 투약했기 때문이라고 발표한 날 공교롭게도 서울대병원 간호사가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을 상습 투여한 사실도 공개됐다.


    이로 인해 병원 내 약물관리 감독 체계를 갖춰 환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지적이 확산되는 가운데 보건당국도 전담인력 보강 방안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의료계에서는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사고는 고질적인 저수가와 인력난 등에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이고, 서울대병원 간호사의 마약 투약은 개인의 문제이므로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입장이다.


    반면 부실한 약물관리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의료계 안팎에서는 관리·감독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환자 안전을 위해 전담인력에 약사를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한국병원약사회는 “신생아 사망 사건을 계기로 약물관리가 환자 안전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며 “환자에 안전한 의약품이 투약 되고 관리되기 위해선 약사 역할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울대병원 사건과 관련해선, 다음달부터 시행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이 오남용을 막을 수 있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은 마약류의 제조·수입·유통·사용 전 과정을 전산시스템으로 보고하고 저장해 상시 모니터링하는 체계다. 마약류 오남용을 막고 범죄에 이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로 모든 마약류 취급자는 사용 내역을 반드시 보고해야 한다.


    김주현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은 “의료진의 마약 투여는 절대로 수용할 수 없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전제한 뒤 “다음 달부터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이 시행되면 정부의 관리가 좀 더 촘촘해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