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협상 결렬... 軍 "공사시급" 물리충돌 우려

    사건/사고 / 이진원 / 2018-04-20 09:00:00
    • 카카오톡 보내기

    軍 "대화로 원만 해결 어려워... 필요조치 강구"
    공권력 동원해 장비 · 자재 추가반입 시도할 듯


    ▲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반대단체는 지난 15일 "국방부가 지난 12일 약속을 어기고 사드기지에서 민간 장비가 아닌 미군 장비를 트레일러에 실어 반출했다"고 밝혔다.(사진제공=연합뉴스)

    [시민일보=이진원 기자]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 내 공사 장비·자재 추가 반입을 두고 국방부와 사드 반대단체가 협상을 벌였지만 무위로 돌아갔다.


    사드 반대 6개 단체로 구성된 사드철회 평화회의(이하 평화회의)는 19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사드부지 공사와 관련해 인원·장비 출입을 놓고 대화를 했으나 국방부가 주한미군 식당과 숙소공사 등을 진행하겠다고 고집해 협상이 결렬됐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또 "대화 중에 국방부는 '공사가 시급하다.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수밖에 없다'며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경우 공권력을 동원하겠다는 협박에 가까운 발표를 했다"고 주장했다.


    평화회의 측은 전날인 지난 18일 늦은 오후 대표회의를 열어 협상 결렬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협상은 지난 16일과 17일 평화회의 측 2명과 국방부 측 2명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당시 협상과정에서 평화회의 측은 사드 기지 내 한국군 장병 숙소 누수공사와 오폐수시설을 할 수 있다고 용인했으나 국방부는 미군 식당·숙소 공사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평화회의는 지금까지 주한미군과 관련된 유류·식자재 이송과 공사를 반대해왔다. 소규모환경영향평가를 근거로 사드가 임시배치된 만큼 일반환경영향평가 이후 추진하라는 것이다.


    강현욱 평화회의 소성리 종합상황실 대변인은 "2개월 정도 걸리는 누수공사와 오폐수공사를 진행하면서 북미회담 결과를 보고 미군 식당·숙소공사 여부를 협의하자"고 말했다.


    반면 국방부는 같은날 사드 기지의 생활시설 공사를 위한 장비 반입 문제를 반대단체와 대화를 통해 해결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필요 조치를 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사드체계 배치와 관련해 저희는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민주적 절차를 준수하고 투명성을 유지하고자 했다"며 "그런데 이제는 더는 대화를 통해 원만하게 해결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되고 있어서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주한미군 식당은 한국군 장병이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로 하는 공사가 아니다"며 "장병 생활환경 개선공사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방부가 물리력을 동원한 장비·자재 추가반입 시도를 재개할 거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