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곳 주민에 개방
[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서울 강남구(구청장 정순균)가 주민의 동아리활동, 세미나, 친목활동 편의와 지역주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29개 공공시설, 45개 유휴공간을 개방한다.
16일 구에 따르면 개방 기관은 동주민센터 8곳(개포·수서·압구정 등), 문화센터 15곳(논현·도곡·역삼 등), 평생학습관, 강남시니어플라자, 강남구민회관 등 총 29개 시설이며, 시설내 개방 공간은 강당·회의실·취미교실·전시실 등 45곳이다.
공간은 32~804㎡로 다양하며 적게는 15명, 많게는 512명까지 이용할 수 있다. 해당 공간에는 방송장비, 빔 프로젝트, 강의용 탁자, 의자 등이 있어 모임의 성격에 따라 이용자들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김석래 구 자치행정과장은 “이번 유휴공간 개방을 통해 주민들이 모여 소통하고 화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주민들이 이를 적극 활용해 지역공동체 활동이 활성화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유후공간은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 사이트 또는 해당 공공시설에 전화해 신청할 수 있으며, 예약 가능 날짜와 시간을 확인한 후 신청하면 심사를 거쳐 이용이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구청 자치행정과 또는 각 동주민센터에 문의하면 된다.
![]() |
||
▲ 강남구 유후공간 안내 리플릿 |
[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서울 강남구(구청장 정순균)가 주민의 동아리활동, 세미나, 친목활동 편의와 지역주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29개 공공시설, 45개 유휴공간을 개방한다.
16일 구에 따르면 개방 기관은 동주민센터 8곳(개포·수서·압구정 등), 문화센터 15곳(논현·도곡·역삼 등), 평생학습관, 강남시니어플라자, 강남구민회관 등 총 29개 시설이며, 시설내 개방 공간은 강당·회의실·취미교실·전시실 등 45곳이다.
공간은 32~804㎡로 다양하며 적게는 15명, 많게는 512명까지 이용할 수 있다. 해당 공간에는 방송장비, 빔 프로젝트, 강의용 탁자, 의자 등이 있어 모임의 성격에 따라 이용자들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김석래 구 자치행정과장은 “이번 유휴공간 개방을 통해 주민들이 모여 소통하고 화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주민들이 이를 적극 활용해 지역공동체 활동이 활성화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유후공간은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 사이트 또는 해당 공공시설에 전화해 신청할 수 있으며, 예약 가능 날짜와 시간을 확인한 후 신청하면 심사를 거쳐 이용이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구청 자치행정과 또는 각 동주민센터에 문의하면 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