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北 보건의료분야 교류협력 필요
인도적 지원엔 대북제재 예외해야”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김혜련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장(더불어민주당·서초1)이 최근 열린 ‘북한결핵 및 보건의료 심포지엄’에 참석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라는 어려움이 있으나, 인도적 내용의 경우에는 대북제재의 예외사항이라는 점을 감안해 교류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28일 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23일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 서울시립서북병원 주관으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 김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남북한 간 보건의료분야 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세부적으로 이날 김 위원장은 "앞으로 남북한의 보건의료 교류는 지원이 아닌 교류·협력이란 상호작용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북한이탈주민을 지원하는 정부기관인 하나원과 서울시립서북병원 간에 ‘북한이탈주민 의료지원 협약’ 체결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북한이탈주민의 결핵 유병율이 높게 나타나 건강상의 문제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며 “북한이탈주민이 성공적으로 한국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서북병원 이외에 다른 시립병원들도 북한이탈주민의 건강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을 이끌어 가겠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그는 “특히 북한이탈주민들이 하나원을 나선 이후에도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시립병원의 북한이탈주민 지원사업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것”이라고 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의 정책 방향 또한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 위원장은 “대북교류협력 사업은 단기적 과제와 장기적 과제 논의를 동시에 진행해야 하며, 관주도가 아니라 민관협력을 통해 정책적·제도적 틀을 만들어 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앞으로 서울시 의회차원에서 남북한 교류와 협력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는 김 위원장을 비롯해 나백주 시민건강국장, 이영문 서울시공공보건의료재단 대표이사 등 서울시의 보건복지분야 주요 관계자 외에 대북한 전문가인 통일부 하나원 임병철 원장을 비롯한 대북교류협력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보건의료분야에서의 남북한 간 교류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박찬병 서울시립서북병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2018년 4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의 판문점 회동으로 남북대화가 시작된 후 다종다양한 교류협력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 보건의료분야에서는 구체적인 교류안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그는 “북한주민들이 결핵 등 감염병과 관련한 보건환경에 관련돼 있는 상황을 이해해야하며, 북한의 보건의료체계와 상호 협업하면서 남북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교류협력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인도적 지원엔 대북제재 예외해야”
![]() |
||
▲ 최근 열린 ‘북한결핵 및 보건의료 심포지엄’에 참석한 김혜련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행사종료 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제공=서울시의회) |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김혜련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장(더불어민주당·서초1)이 최근 열린 ‘북한결핵 및 보건의료 심포지엄’에 참석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라는 어려움이 있으나, 인도적 내용의 경우에는 대북제재의 예외사항이라는 점을 감안해 교류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28일 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23일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 서울시립서북병원 주관으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 김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남북한 간 보건의료분야 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세부적으로 이날 김 위원장은 "앞으로 남북한의 보건의료 교류는 지원이 아닌 교류·협력이란 상호작용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북한이탈주민을 지원하는 정부기관인 하나원과 서울시립서북병원 간에 ‘북한이탈주민 의료지원 협약’ 체결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북한이탈주민의 결핵 유병율이 높게 나타나 건강상의 문제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며 “북한이탈주민이 성공적으로 한국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서북병원 이외에 다른 시립병원들도 북한이탈주민의 건강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을 이끌어 가겠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그는 “특히 북한이탈주민들이 하나원을 나선 이후에도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시립병원의 북한이탈주민 지원사업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것”이라고 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의 정책 방향 또한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 위원장은 “대북교류협력 사업은 단기적 과제와 장기적 과제 논의를 동시에 진행해야 하며, 관주도가 아니라 민관협력을 통해 정책적·제도적 틀을 만들어 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앞으로 서울시 의회차원에서 남북한 교류와 협력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는 김 위원장을 비롯해 나백주 시민건강국장, 이영문 서울시공공보건의료재단 대표이사 등 서울시의 보건복지분야 주요 관계자 외에 대북한 전문가인 통일부 하나원 임병철 원장을 비롯한 대북교류협력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보건의료분야에서의 남북한 간 교류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박찬병 서울시립서북병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2018년 4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의 판문점 회동으로 남북대화가 시작된 후 다종다양한 교류협력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 보건의료분야에서는 구체적인 교류안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그는 “북한주민들이 결핵 등 감염병과 관련한 보건환경에 관련돼 있는 상황을 이해해야하며, 북한의 보건의료체계와 상호 협업하면서 남북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교류협력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