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진원 기자]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아동수당 신설과 주거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로 인해 복지 관련 민원 신청이 급증함에 따라 지역주민의 복지급여 신청조사와 민원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회보장급여 통합조사 전담반’을 운영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구에 따르면 사회보장급여 통합조사 전담반은 복지정책과 통합조사·관리팀 15명과 통합조사 업무경력이 있는 동 지원근무자 8명을 추가로 배치해 총 23명으로 구성했으며, 오는 9월20일까지 운영된다.
세부적으로 신설된 전담반은 아동수당과 주거급여 신청인의 소득·재산조사에 대해 신속하게 조사해 아동수당과 주거급여를 적기에 지급하는 업무를 한다.
앞서 구는 아동수당 소득·재산조사가 보건복지부에서 마련한 자동화시스템만으로 아동수당 소득·재산조사 진행될 것으로 예측했으나, 실제로 자료 회신결과에 따르면 해당 시스템을 통해 29%만이 분류되는 데 그쳐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강남구와 서초구에 이어 세번째로 자동화율이 낮았다.
이에 구는 아동수당을 지급하기 위해 신청자의 71%에 대해 소득·재산조사를 짧은 기간 안에 진행해야 했고, 이에 조사업무 부담 가중으로 급여를 적기에 미지급해 생기는 민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담반을 운영하게 됐다.
아동수당과 더불어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기준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던 부양의무자기준이 폐지되면서 그동안 부양의무자 기준으로 수급자에 선정되지 못한 대상자와 차상위계층 등의 대상자들이 대거 주거급여를 신청하고 있어 아동수당과 주거급여 신청자의 소득·재산을 신속·정확하게 조사하고 있다.
정원오 구청장은 “사회보장급여 통합조사 전담반 운영으로 조사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주민들의 입장에서 불편사항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신설 변경되는 사회보장급여를 적기에 지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구에 따르면 사회보장급여 통합조사 전담반은 복지정책과 통합조사·관리팀 15명과 통합조사 업무경력이 있는 동 지원근무자 8명을 추가로 배치해 총 23명으로 구성했으며, 오는 9월20일까지 운영된다.
세부적으로 신설된 전담반은 아동수당과 주거급여 신청인의 소득·재산조사에 대해 신속하게 조사해 아동수당과 주거급여를 적기에 지급하는 업무를 한다.
앞서 구는 아동수당 소득·재산조사가 보건복지부에서 마련한 자동화시스템만으로 아동수당 소득·재산조사 진행될 것으로 예측했으나, 실제로 자료 회신결과에 따르면 해당 시스템을 통해 29%만이 분류되는 데 그쳐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강남구와 서초구에 이어 세번째로 자동화율이 낮았다.
이에 구는 아동수당을 지급하기 위해 신청자의 71%에 대해 소득·재산조사를 짧은 기간 안에 진행해야 했고, 이에 조사업무 부담 가중으로 급여를 적기에 미지급해 생기는 민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담반을 운영하게 됐다.
아동수당과 더불어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기준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던 부양의무자기준이 폐지되면서 그동안 부양의무자 기준으로 수급자에 선정되지 못한 대상자와 차상위계층 등의 대상자들이 대거 주거급여를 신청하고 있어 아동수당과 주거급여 신청자의 소득·재산을 신속·정확하게 조사하고 있다.
정원오 구청장은 “사회보장급여 통합조사 전담반 운영으로 조사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주민들의 입장에서 불편사항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신설 변경되는 사회보장급여를 적기에 지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