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진 출처=추석 차례상 / 온라인 커뮤니티 |
23일 오전 8시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상위에 ‘추석 차례상’이 등극하며 이목을 집중시킨다.
추석 차례상은 가가례(家家禮)라 하여 집집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인 진설(陳設:상차림)법은 지켜야 한다. 병풍을 두르고 상을 편 뒤 지방이나 사진 등 신위(神位)를 모신다. 신위는 상위에 놓으면 안된다. 차례상은 5열로 차리며 열마다 홀수로 배열한다.
신위를 기준으로 1열에는 서쪽부터 술잔과 받침대, 숟가락과 젓가락을 놓는다. 2열에는 국수 전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채소 구운 것) 어적(생선 구운 것) 고물떡, 3열에는 각기 고기 채소 생선을 끓인 육탕 소탕 어탕, 4열 서쪽 첫번째에는 북어 고기 오징어 문어 중 한가지를 말린 포를 놓고 숙채 청장(간장) 침채(흰 나박김치), 마지막열에는 밤 배 곶감 약과 강정 사과 대추를 차례대로 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차례 지내는 법은 그 집안의 가풍과 지역의 특색마다 차이가 있지만, 분향례 강신례 참신례 헌작례 사신례 망혼례 유복례의 순으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