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2022년까지 일자리 5만6000개 창출

    복지 / 류만옥 기자 / 2018-10-16 14:19:19
    • 카카오톡 보내기
    공공 2만5270개·민간 3만740개
    내년 15~64세 ‘고용률 67.7%’ 달성 목표


    [광명=류만옥 기자] 경기 광명시는 오는 2022년까지 4년간 공공일자리 2만5270명과 민간일자리 3만740명 등 모두 5만6010명의 일자리를 만들어 시민의 삶을 바꾼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16일 시에 따르면 우선 오는 2019년 일자리를 15~64세 고용률 67.7% 달성하고 일자리 지키기, 만들기, 채우기, 나누기 등 4개 분야로 나눠 중점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시는 일자리 지키기로 연간 공공일자리 6000여명 양질의 공공일자리를 창출하게 되며 공공 일자리 질을 높이기 위해 공공일자리를 계속 확대하는 한편 재정에 문제가 없다면 취약계층 일자리를 더 확대할 계획이다.

    이 같은 일자리 만들기는 오는 2019년부터 청년·여성·다문화·장애인을 위한 맞춤일자리 ‘광명1969 행복일자리’ 신규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방과 후 문화체육교실, 아동안심 귀가서비스, 방문외국인 민원안내도우미, 힐링안마서비스, 학교체육관 개방관리 등 10개 분야에 연인원 382명이 참여할 계획이다.

    특히 청년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푸드트럭 존, 광명동굴 연계 청년일자리, 기업체와 연계한 특성화고교생 일자리도 추진한다.

    또 청년들의 취업 고충과 어려움에 귀를 기울이기 위해 시장 직속 ‘청년위원회’(50명)도 곧 설치한다.

    이로 인해 시는 창업환경을 제공해 시설·자금 지원·알선을 위해 ‘광명시 창업지원·운영에 관한 조례’를 입법예고 중이다.

    이를 위해 하우스푸어 계층에 공공일자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자격기준 재산세를 기존 30만~45만원에서 50만~60만원으로 높여 기준 완화를 준비 중이며 ‘새희망 일자리사업’과 ‘5060 베이비부머’ 사업을 통·폐합해 오는 2019년에는 ‘신(新)중년 일자리사업’으로 실효성 있게 추진한다.

    일자리 나누기로, 구직 희망자와 구인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시설 공간을 최우선 제공하고 일자리창조허브센터 증축, 청년창업지원센터, 자영업지원센터, 노동자복지회관도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시장 직속 ‘광명시 일자리위원회’를 위촉(30명)·운영해 광명 맞춤형 일자리 정책이 제대로 추진되고 있는지 월 1회 일자리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등 일자리위원회가 공공과 민간일자리 정책을 만드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승원 시장은 “일자리는 개인의 삶이며 희망으로 사람중심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청년들이 꿈을 잃지 않고 희망을 주는 청년드림 일자리정책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만옥 기자 류만옥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