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제작진은 동창회 사무실에 보관된 해부 영상을 법의학자에게 가져가 자문을 구했다. 법의학자 세 사람은 사망 원인을 두고 사고사, 타살 등 다른 소견을 보였다. 공통적 의견은 추락한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이호 교수는 "익사라고 납득시킬 만한 근거가 없다"며 "부패가 진행됐지만 여러 장기에서 플랑크톤이 검출돼 생전에 입수했을 가능성은 인정 된다"고 말했다. 서중석 전 국과수 원장은 "익사 가능성은 높다"며 "사고사인지 타살인지 감별할 해부 소견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성호 교수는 "다리 여러 곳에 피하 출혈이 있다. 추락보다는 다른 원인이 있지 않을까 추정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의문점은 故 이철규 씨 위에서 나온 음식물이었다. 지인들과 짜장면을 먹고 주스를 마신 이철규 씨의 위에서 콩나물과 호박 등이 검출됐다. 전문가는 사망 두 시간 전 먹은 것으로 추정했다. 이를 두고 후배 정후태 씨는 "비빔밥 내지 국밥"이라며 "조사받아봤지만 고기가 많이 들어간 것 안 시켜준다. 빨리 먹을 수 있는 국밥"이라고 추정, 고문에 의한 사망에 무게를 실었다.
전남 학생운동권의 리더였던 故 이철규 씨 의문사를 두고 정후태 씨는 "간첩단 사건이 큰 그림으로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의문사위 조사관 또한 "안기부 직원들이 나가서 검거활동을 하지 않았을까"라고 말했다.
4.9통일평화재단 안경호 사무국장은 증거 자료 접근 자체가 불가했던 당시에 대해 지적했다. 또, "국가범죄이기 때문에 국가가 책임 있게 사실관계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방송은 故 이철규 씨를 데려간 것을 봤다는 당시 전화 제보를 조명했다. "남은 희망은 제보"라며 의문사를 밝혀낼 수 있는 제보자의 용기를 당부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