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안전망 연계·지속 관리
▲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위한 현장방문 모습. (사진제공=마포구청) |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서울 마포구(구청장 유동균)는 '2020년 상반기 주민등록 사실조사' 및 고독사 위험가구 발굴을 위한 '1인 가구 전수조사'를 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먼저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주민등록 사항과 실제 거주사실을 일치시킴으로써 인구이동 실태를 파악하고 행정사무의 기본이 되는 주민등록제도를 명확하게 운영하기 위해 시행한다.
이번 상반기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지난 7일부터 오는 3월20일까지 구 16개동 37만4035명을 대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동주민센터에서는 합동조사반을 편성, 해당 동의 각 가구를 방문해 거주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사실조사를 진행한다.
이 기간 각 동주민센터는 주민등록 사항과 실제 거주사실의 일치여부 확인, 거주지 변동 후 미신고자 및 부실신고자 등의 조사, 각종 사유로 주민등록 말소 및 거주불명 등록된 자의 재등록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이와 함께 지역내 복지사각지대 발굴 및 고독사 위험가구 발굴을 위한 1인 가구 전수조사도 함께 추진한다.
최근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고독사 등 여러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자 구는 이를 예방하고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지역내 거주하는 전연령 1인 가구에 대한 고독사 위험가구 발굴계획을 마련해 지난 20일부터 오는 4월24일까지 사실조사를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실시하는 1인 가구 조사는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시행하는 동 주민센터 복지통장에게 고독사 위험가구 발굴 사전교육을 한 후 구에 거주하는 전체 1인 가구 7만3651명 중 1차 위험가구를 선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어 동주민센터 복지플래너 및 우리동네주무관이 선별된 1차 위험가구에 대한 주거, 경제, 건강, 사회적교류 관련 심층조사를 한다.
심층조사를 통해 발굴된 고독사 위험 및 사회적 고립가구에 대해서는 구에서 추진 중인 사회안전망 사업과 연계해 지속적인 관리가 이뤄질 예정이다.
특히 올해 구는 정보·기술(IT)을 활용한 '마포 안부콜, 모바일안심케어서비스'를 신규 도입해 고독사 위험가구 등의 휴대폰 사용이력을 일정시간(1~10일 주기) 분석하고, 2차 자동안부전화 발신을 통해 시스템 안부확인을 실시한 후 미확인자에 대해 동주민센터 돌봄인력이 직접 가정을 방문해 좀더 촘촘한 안전망을 형성할 예정이다.
유동균 구청장은 "1인 가구의 증가로 고독사 및 은둔형 고립가구가 증가해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취약계층이 늘고 있다"며 "1인 가구 전수조사와 주민등록 사실조사가 행정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주민의 편익을 위해 추진하는 절차인 만큼 통장 등 조사원이 가정 방문시 구민들이 적극 협조하길 부탁한다"고 말했다.
한편 구는 2018년 1월 '고독사 예방 및 사회적고립가구 안전망 확충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2019년에는 주거취약거주 등 중·장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해 287명의 고독사 위험군을 발굴, 공적급여 및 긴급지원, 민간서비스 지원, 돌봄SOS센터 사업을 연계해 지속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등 고독사 없는 구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