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황혜빈 기자]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만 20~49세(1970~1999년생) A형간염 고위험군 대상자에 A형간염 무료 예방접종을 한다고 밝혔다.
A형간염 고위험군 대상자는 만 20~49세 중 B18 만성바이 러스성 간염(Chronic viral hepatitis), K74 간의 섬유증 및 경변증(Fibrosis and cirrhosis of liver) 등의 상병코드로 입원 또는 외래 진료 기록이 있는 자다.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상병코드는 10가지로, 보건소 및 구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0~30대(1980~1999년생) 대상자는 6개월 간격으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으며, 40대(1970~1979년생) 대상자는 오는 2월1일부터 항체검사를 시행한 후 2회 예방접종이 가능하다.
지역내 위탁의료기관 25곳이 협력한다.
지난 13일 복지부에서는 20~30대 대상자들에게 무료접종에 대해 문자메시지로 안내를 했다.
문자 메시지를 받지 못한 고위험군 대상자는 해당 상병코드가 등재된 진료기록부 또는 진단서 등을 준비해 위탁의료기관을 방문하면 된다.
구에서는 백신 소진 등의 상황을 고려해 위탁의료기관에 사전 문의 후 방문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무료 예방접종 관련 위탁 의료기관은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하다.
A형간염 고위험군 대상자는 만 20~49세 중 B18 만성바이 러스성 간염(Chronic viral hepatitis), K74 간의 섬유증 및 경변증(Fibrosis and cirrhosis of liver) 등의 상병코드로 입원 또는 외래 진료 기록이 있는 자다.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상병코드는 10가지로, 보건소 및 구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0~30대(1980~1999년생) 대상자는 6개월 간격으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으며, 40대(1970~1979년생) 대상자는 오는 2월1일부터 항체검사를 시행한 후 2회 예방접종이 가능하다.
지역내 위탁의료기관 25곳이 협력한다.
지난 13일 복지부에서는 20~30대 대상자들에게 무료접종에 대해 문자메시지로 안내를 했다.
문자 메시지를 받지 못한 고위험군 대상자는 해당 상병코드가 등재된 진료기록부 또는 진단서 등을 준비해 위탁의료기관을 방문하면 된다.
구에서는 백신 소진 등의 상황을 고려해 위탁의료기관에 사전 문의 후 방문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무료 예방접종 관련 위탁 의료기관은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