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윤관석·이성만 체포동의안 의결되면 의원들 줄소환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2021년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살포’ 사건의 피의자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가 7일 두 번째 ‘셀프 출석’을 시도했지만, 검찰 거부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송 전 대표는 이날 오전 9시23분쯤 서울중앙지검에 도착해 청사 안에서 수사팀에 면담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진중권 광운대 교수는 “구속영장 발부를 막으려는 일종의 쇼, 퍼포먼스”라고 비판했다.
진 교수는 전날 오후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 승부’에서 송 전 대표의 자진 검찰 출석에 대해 “또 한 번 쇼하는 것”이라며 ‘보여주기 차원’이라고 단언했다.
앞서 송 전 대표는 지난달 2일에 이어 이날에도 검찰에 자진 출두했으나 검찰 거부로 수사가 불발했다. 그는 이번에도 면담이 불발되면 기자회견과 1인 시위를 하겠다고 변호인을 통해 밝혔다.
이에 진 교수는 “구속영장이 신청될 것에 대비해서 ‘두 번이나 자진 출석했지 않았는가’, ‘난 도주 우려가 없다’는 걸 보여주려는 의도”라고 규정했다.
이어 “만약에 (윤관석·이성만 의원이) 구속된다면 (구속영장이) 송영길 대표한테 가는 길이 열리는데 (송 전 대표의 자진 출석은) 아마 그것 때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진 교수는 “검찰이 이 두 사람을 굳이 구속시키려는 핵심은 결국 가장 큰 수혜자인 송영길 대표 때문”이라면서 “송영길 대표도 ‘그다음 순서로 나한테 구속영장이 신청될 것’이라는 걸 안다. 법원이 영장을 기각하도록 ‘나는 도주의 우려가 없다’, ‘두 번이나 자진 출석하지 않았느냐’(는) 그런 알리바이를 만드는 행동”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검사 김영철)는 2021년 5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무소속 윤관석·이성만 의원 등 경선캠프 관계자들이 송 전 대표를 당선시키려고 총 9400만원을 당내에 살포하는 과정에 송 전 대표가 공모한 것으로 보고 수사 중이다.
검찰은 다른 관련자 조사를 마무리한 후 최종 수혜자로 지목된 송 전 대표를 소환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제 조사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돈봉투 살포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은 오는 12일에 예정된 윤관석·이성만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 의결여부를 수사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현재 돈봉투 수수자로 분류된 현역 의원들을 상당 부분 특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12일 체포동의안이 가결되면 윤·이 의원 신병을 확보한 후 돈봉투를 수수한 현역 의원들을 차례로 소환할 방침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