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들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중대한 법안 심의 현장에서 터져 나온 이번 발언은 지역 비하이자 국가적 재난의 아픔까지 정쟁의 도구로 삼은 반인륜적 망언”이라며, “180만 전남도민은 참담함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특정 지역에 불이 나야만 법안에 찬성할 수 있다는 식의 언행은 국민을 대변하는 국회의 책무를 심각히 훼손한 것이며, 재난 피해자와 호남 주민은 물론 대한민국 공동체 전체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아울러, 김 의원의 경상도식 사투리의 오해라는 해명에 대해서도 “본질은 지역감정 조장과 피해자 및 국민에 대한 모욕이라는 사실을 피할 수 없다”며, 발언의 심각성을 거듭 강조했다.
전라남도의회 더불어민주당·진보당·정의당 의원들은 “앞으로도 어떠한 차별과 배제, 지역감정의 정치가 국회와 사회에서 재발하지 않도록 끝까지 견제하고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붙임 국민의힘 김정재 국회의원 사퇴 촉구 성명서 1부.
국민의힘 김정재 국회의원 사퇴 촉구 성명서
지난 9월 25일 국회 본회의‘경북·경남·울산 초대형 산불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안’표결 과정에서 나온 국민의힘 김정재 의원의 "호남에서는 불 안 나나”라는 발언에 전라남도의회와 180만 도민들은 참담함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지역적 이해관계를 넘어,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중대한 법안 심의 현장에서 나온 이번 발언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지역 비하이자, 국가적 재난의 아픔까지 정쟁의 도구로 삼는 반인륜적 망언이었다.
특정 지역에 불이 나야만 법안에 찬성할 수 있다는 식의 김 의원의 언행은 재난 대응과 복구에 있어 지역과 정치적 이해를 뛰어넘어야 하는 국회 본연의 책무를 심각히 훼손하였으며 재난 피해자와 호남 주민은 물론 대한민국 공동체 전체에 치욕과 상처를 남겼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경상도식 사투리의 오해라 주장하지만, 발언의 본질은 지역 감정 조장과 피해자와 그리고 국민에 대한 모욕이라는 사실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이번 국회 표결은 대한민국의 연대와 공존, 민생 회복의 틀을 다지기 위한 중요한 순간이었다. 그러나 김 의원은 호남 주민과 산불 피해자들을 향해 외면과 조롱, 냉소의 언행으로 국민 통합과 상생을 바라는 민심을 저버렸다.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국민의 대의기관으로서 사명과 품격을 지켜야 할 국회의원이, 지역적 편견과 분열을 고조시키며, 국가적 슬픔 앞에서 차별과 혐오를 조장하는 것이 과연 용납될 수 있는가.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자 공직자로서, 국가적 재난의 아픔을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국민 간 분열을 야기하는 태도는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모든 국민의 안전과 생명은 이념이나 지역을 초월해 지켜져야 하며, 재난 앞에서는 누구도 외면받아서는 안 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바이다.
이에 전라남도의회는 이와 같은 망언이 반복되지 않도록 윤리적 책임과 품위유지의 의무, 그리고 국회 내 공정성과 인권의 신장을 위해 김정재 국회의원에게 다음과 같이 엄중히 촉구한다.
첫째, 즉각적이고 공개적인 사과와 책임 있는 태도를 보이라.
둘째, 지역 비하와 국민 모욕의 발언에 대한 의원직 사퇴를 결단하라.
셋째, 국회 윤리위원회 및 정치권은 해당 의원의 품위유지 의무 위반 및 모욕적 언행에 대하여 책임 있는 징계 절차를 조속히 진행하라.
전라남도의회는 이번 사안이 대한민국 정치의 품격과 공동체 정신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그 어떠한 차별과 배제, 지역감정의 정치가 국회와 사회에서 재발하지 않도록 끝까지 견제하고 바로잡을 것이다.
2025년 10월 2일
전라남도의회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정의당 의원 일동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