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문재인 정부 당시 최고 50㎞로 한정했던 도심 제한 속도 조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14일 강원도 원주시 도로교통공단을 방문해 "도로 제한속도가 국민을 잠재적 범죄자로 만들고 있다는 지적을 살펴봐야 한다"며 "제한속도 조정이 폭넓게 확산할 필요가 있겠다는 판단"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지난 2021년 4월 시행된 '안전속도 5030' 정책과 관련, 천차만별인 도로 환경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지 않고 획일적 규제를 도입하다 보니 비효율적이란 비판이 많이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보도가 없는 고가 차도나 보행자 안전과 거의 상관이 없는 구간에 대해 획일적으로 규제하는 건 모순됐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며 "국민 의견을 살펴보면 제한속도 재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90%에 육박한다는 조사가 있을 정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한속도 조정을 더욱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도심 일반도로는 시속 50㎞, 주택가 등 주변 이면도로는 시속 30㎞로 제한속도를 낮춘 ‘안전속도 5030′ 정책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 4월부터 시행됐다. 차량 속도를 낮춰 교통사고 발생 시 사망 가능성을 줄이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한다는 취지였다. 실제로 2021년 일반 도로에서는 사망자 수가 7.7% 줄었지만, 주행속도 제한 도로에서는 사망자 수가 27.2% 줄었다는 경찰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심야처럼 교통량이 적을 때도 일률적으로 제한속도를 적용시켜 차량 정체 및 공회전으로 인한 배기가스 문제를 유발시킨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주변 속도 규제 완화도 검토된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24시간 내내 동일한 제한속도(시속 30㎞)를 적용하고 있는 한국과 달리 미국·일본 등은 학생 등·하교 시간에 맞추어 탄력적인 운영을 한다.
김 대표는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에서도 아이들 통행이 없는 시간대까지 제한속도를 유지하는 게 바람직한가, 오히려 시민 불편이 더 많이 초래되는 게 아니냐는 요구가 제기되는 것을 무시할 수 없다"면서 "어린이 통행이 거의 없는 심야시간대 이것을 어떻게 적용할지 심도 있게 검토해 국민에게 불필요한, 과도한 규제가 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통행량이 적은 심야시간대 점멸등 도입 확대와 토요일 운전면허시험 확대도 교통정책 개선방안으로 제시됐다.
현재 수도권 광역시를 중심으로 토요일에 일부 특별시험이 시행되고 있는데, 이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다.
김 대표는 "교통 정책은 남녀노소와 운전자, 비운전자할 것 없이 모두에게 해당하는 체감 1순위 정책 분야"라며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과도한 교통 규제를 합리화할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