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4세 장애인·의료급여수급자·국가유공자는 시비로
![]() |
▲ 어린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_포스터 / 광주광역시 제공 |
광주시는 쏠림 방지와 안전한 접종을 위해 대상군별, 연령별로 접종 시기를 분산해 진행한다.
대상자별 일정은 2회 접종 대상자(생후 6개월 이상 9세 미만 어린이 중 독감 예방접종을 생애 처음 받는 경우에 해당)는 20일부터 가능하다. 1회 접종 대상자(생후 6개월 이상 13세 이하 어린이는 접종 4주 후 2차 접종 필요)와 임신부는 10월 2일부터 시행한다.
어르신은 75세 이상 10월 11일부터 시작하며, 70~74세 10월 15일부터, 65~69세는 10월 18일부터 2025년 4월 30일까지 무료 접종을 실시한다.
접종은 신분증을 지참하고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지정 위탁의료기관에서 무료로 가능하며, 지정 위탁의료기관은 예방접종 도우미 누리집과 예방접종도우미 애플리케이션, 관할 보건소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광주시는 또 자체사업으로 50~64세 장애인·의료급여수급권자·국가유공자에 대해 10월 28일부터 12월 6일까지 주소지 관할 지정 위탁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을 실시하며, 접종 의료기관 등 자세한 사항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플루엔자 유행은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인 만큼 접종 후 면역 형성 효과 지속 기간(접종 2주부터 항체 생성, 평균 6개월 유지)을 감안해 10월에서 12월 사이에 접종하는 것을 권장한다.
특히 어르신 독감 백신 접종은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동시에 진행될 예정이며, 두 백신의 접종을 원하는 경우 같은 날 동시 접종도 가능하다.
배강숙 공공보건의료과장은 “고령자 등 고위험군의 경우 독감 감염 때 중증화 위험이 높아 예방접종이 중요하다”며 “독감 유행 전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해 반드시 예방접종을 해주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사업 시행 기간】
접종 대상
접종 기간
생후 6개월 ∼ 13세 어린이
(2011.1.1.∼2024.8.31. 출생)
⦁2회 접종 대상자*
‘24. 9. 20.(금) ~ ‘25. 4. 30.(수)
⦁1회 접종 대상자
‘24. 10. 2.(수) ~ ‘25. 4. 30.(수)
임신부
임신주수에 관계없이 접종
‘24. 10. 2.(수) ~ ‘25. 4. 30.(수)
65세 이상 어르신
⦁75세 이상
(1949.12.31. 이전 출생)
‘24. 10. 11.(금) ~ ‘25. 4. 30.(수)
⦁70∼74세
(1950.1.1.∼1954.12.31.출생)
‘24. 10. 15.(화) ~ ‘25. 4. 30.(수)
⦁65∼69세
(1955.1.1.∼1959.12.31. 출생)
‘24. 10. 18.(금) ~ ‘25. 4. 30.(수)
장애인, 의료급여수급권자, 국가유공자
⦁50∼64세
(1960.1.1.∼1974.12.31. 출생)
‘24. 10. 28.(월) ~ ‘24. 12. 6.(금)
* 생후 6개월 이상 9세 미만 어린이 중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생애 처음 받는 경우에 해당하며, 1차 접종 4주 후 2차 접종필요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