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선관위, 하위직부터 고위직까지 내부 완전히 썩어”

    정당/국회 / 전용혁 기자 / 2023-06-29 12:37:32
    • 카카오톡 보내기

    특혜채용 논란 중에도 무더기 승진 인사…25명은 내부조사 불응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고위직 자녀 특혜채용 의혹으로 논란을 빚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해 여권은 “하위직부터 고위직까지 선관위 내부가 완전히 썩었다”라고 비판했다.


    실제로 선관위는 사무총장과 사무차장이 사태의 책임을 지고 동반 사퇴하는 등의 혼란 속에서도 무더기 승진 인사를 단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가운데 특혜채용 비리 자체조사에서 ‘개인정보’를 이유로 불응한 직원 25명 가운데 92%(23명)가 6급 이하 직원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선관위 특혜채용 의혹이 고위직뿐만 아니라 6급 이하 직원들까지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실이 선관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선관위는 다음달 1일자 발령으로 총 49명의 직원을 승진시켰다. 이 가운데 고위급인 3급 이상으로 승진한 대상자가 15명에 달했다. 구체적으로 △3급→2급 8명 △4급→3급 7명 △5급→4급 18명 △6급→5급 7명 △7급→6급 6명 △9급→8급 3명이다. 5급 이상으로 승진한 직원만 해도 40명에 달한다.


    특히 이번 승진 대상자 중에는 내부 인사에 대한 감사 업무를 일부 겸한 인사 담당자 등 최근 제기된 자녀 특혜채용 의혹 또는 미흡한 대처 등의 책임과 무관치 않은 이들도 포함돼 빈축을 사고 있다.


    또 국민의힘 전봉민 의원이 선관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내부조사에 불응했던 선관위 직원 25명 가운데 56%(14명)이 7급 직원이었다. 다음으로 6급이 8명으로 뒤를 이었다. 2급·3급·8급 직원은 각각 1명이었다.


    선관위가 이들 25명을 제외한 자체조사에선 전·현직 선관위 직원과 친·인척 관계에 있는 경력 채용 인원은 2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6급 이하 직원들이 연루된 경우는 15건이었다. 특히 선관위 6급 이하 직원들은 자녀뿐만 아니라 배우자, 형제·자매, 3촌·4촌의 경력직 채용에도 광범위하게 연루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당시 선관위가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은 직원 25명은 조사에서 배제했다는 점에서 “반쪽짜리”라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선관위 채용 특혜의혹에 대해서는 감사원 감사, 국민권익위원회(권익위) 조사, 경찰 수사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향후 외부조사에서 특혜채용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전봉민 의원은 “특혜 채용의혹이 직급과 무관하게 전방위로 확대되고 있지만, 선관위는 외부조사에 여전히 방어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라며 “선관위는 헌법상 독립기구라는 이름의 무게에 맞는 공정함을 스스로 지키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한편 선관위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1건의 특혜채용 가운데 부모·자녀 채용 중 부친은 12건, 모친은 1건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차관급인 경우는 1건, 국무위원급 2건, 1급 공무원 2건, 3급 공무원 1건, 4급 공무원 4건, 5급 공무원 1건, 6급 공무원 1건, 7급 공무원 1건으로 확인됐다. 채용된 자녀들은 현재 모두 7~9급 공무원으로 재직 중이다.


    배우자 채용 3건은 6~7급 공무원을 배우자로 두고 있으며 현재 모두 근무 중이다. 형제·자매 채용 2건은 2급과 5급 공무원을 형제자매로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3·4촌 채용 3건은 각각 3급, 4급, 5급 공무원의 친족으로 조사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