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유역 안전한 물공급 체계 구축사업’ 예타조사 통과··· “생계에 위협” 창녕 주민들 반발 확산

    환경/교통 / 노영동 / 2022-07-18 16:30:55
    • 카카오톡 보내기
    "배후지등 지하수 수위 하강
    특수작물 재배에 피해 우려"
    [창녕=노영동 기자] 낙동강유역 안전한 물공급 체계 구축사업이 지난 6월30일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정부사업으로 확정되면서 경남 창녕지역의 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상황이다.


    이번 예타 통과로 정부에서는 총사업비 2조4959억원을 투입해 하반기부터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에 착수한다.

    2024년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와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2025년에 사업을 착공,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김찬수 강변여과수 개발 반대대책위원회 위원장은 “타 지역민들에 대한 물 공급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지하수의 영향을 크게 받는 특수작물을 재배하는 지역주민들로서는 강변여과수 개발이 생계의 위협이 될 수 있는 만큼 그 어떠한 피해도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반대대책위원회는 근거로 2014년도 착수해 2016년도에 완료한 낙동강 강변여과수 사업 지하수 영향조사 용역에서 시험집수정 운영 후 모니터링 결과 지하수위가 약 1.5m 하강한 것을 확인했다.

    또한 10개 집수정 동시 가동시 향후 배후지 지하수위가 5m 하강하는 것으로 추정됐기에 그동안 사업을 지속적으로 반대해 왔다.

    이번 정부의 사업 시행 의지에 따라 낙동강 강변여과수 반대대책위원회에서는 합천 등 타 지역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총력 대응해 나갈 것임을 분명히 했다.

    또한 길곡면 반대대책위원들이 새로 취임한 김부영 군수와 지난 6일 면담을 가지면서 사업추진 반대 의지를 밝히고 군에서도 적극 대응해줄 것을 요청했다.

    김부영 군수는 “지역주민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사업 추진은 안 된다. 기존 정부에서 계획하고 있는 사업은 지역주민들에게 직접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용역결과 확인된 만큼 새로운 공법적용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지역주민들의 강력반발 격화조짐에 따라 관련 부서에서는 주민들의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타 지자체의 대응 상황과 정부의 사업추진 상황을 수시로 파악하면서 주민들에게 피해가 없도록 대응을 지시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노영동 노영동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