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보호자등 심층조사··· 사후관리도 신속 처리
![]() |
▲ 공동협력회의. (사진제공=서초구청) |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서울 서초구 서초아동보호대응센터가 ‘아동학대 없는 행복도시’를 만들기 위해, ‘아동학대 보호대응 시스템’을 마련했다.
6일 구에 따르면 ‘아동학대 보호대응 시스템’은 수사권을 가진 경찰이 사건 초기부터 공조해 수사 및 사후관리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아동학대 신고가 접수 시 수사관과 아동보호전담공무원, APO가 현장에 출동해 그 사실을 확인한다.
이후 수사관이 참여하는 공동협력회의에서는 ▲아동학대 여부의 판단 ▲수사개시 여부 ▲사건 조사 처리방향 ▲사후 관리방안까지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즉시 사건을 조사 또는 처리하는 절차로 운영한다.
이번 개편된 구의 아동학대 보호대응 시스템의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학대 신고를 받은 아동보호전담공무원과 수사관이 현장에 출동해 확인한 결과, 수사 권한을 통해 가정폭력으로 수차례 신고 이력이 있는 가정인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수사관의 판단 하에 아동과 보호자, 주변인 등에 대해 심층조사를 실시했으며, 즉각적으로 피해아동을 분리조치 후 서초구 학대피해아동쉼터로 이동시켰다. 이는 수사권을 가진 경찰의 공조를 통해 신속하게 대응한 사례였다.
구 관계자는 “이번 수사관이 적극 참여하는 원스톱 아동보호 대응 시스템은 신고부터 처리까지 소요기간을 크게 단축시켜 신속한 아동 보호가 이뤄질 수 있다”며 “이번 시스템이 지자체의 새로운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천정욱 서초구청장 권한대행은 “앞으로도 아동보호대응센터를 컨트롤타워 삼아 촘촘한 아동 보호 안전망을 구축해 ‘아동학대 없는 행복도시 서초’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구는 이러한 아동학대 보호대응 시스템을 골자로 하는 ▲민·관·경 공동대응 강화 ▲아동중심 사후관리 강화 ▲아동학대 제로를 위한 사전예방 강화 등 3개 테마, 13개 세부사업을 담은 ‘2022.서초구 아동보호 대응 종합대책’을 마련해 이달부터 추진하고 있다.
구는 아동학대 사례판정단을 더욱 객관적이고 전문적으로 꾸리기 위해 기존 경찰, 변호사, 심리상담가, 청소년상담가로 구성된 7명의 위원에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등 전문가 인력을 확대 위촉한다. 이를 통해 분야별 전문가 인력풀을 구성해 학대피해아동의 사례판단과 보호조치를 강화한다.
특히 4차 산업기술을 접목해 학대 아동들의 심리치료 지원과 아동학대 예방교육도 제공한다. 7월에는 전국 최초로 4차 산업 기술을 도입한 ‘메타버스 심리상담소’를 선 뵐 예정이며, 서초스마트유스센터와 연계해 뇌맥파로 심리검사를 하는 ‘마음 키오스크’와 힐링 VR체험 등을 제공하며, 교육기관과 연계해 ‘찾아가는 메타버스 아동학대 예방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