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권 35.1% 달해··· 보호권 5.8%·참여권 01.%
아동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사업 예산 배분의 공평성과 적정성을 분석한 '아동친화 예산서'는 아동 친화 여건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함과 동시에 완성도 높은 아동친화도시 구축을 위해 마련됐다.
예산서를 자세히 살펴보면 올해 본예산을 ▲놀이와 여가 ▲참여와 시민권 ▲안전과 보호 ▲보건과 사회서비스 ▲교육환경 ▲가정생활환경 등 6가지 영역과 함께 ▲생족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 등 4대 권리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먼저 아동 4대 권리에 따른 전체 예산은 발달권이 59%로 가장 높고, 뒤이어 생존권 35.1%이며, 보호권 5.8%, 참여권 0.1% 순이다.
특히 보호권은 스마트 자율주행 기반 안심순찰 서비스, 장애인 전동휠체어 운전연습장 설치 운영 등으로 인해 예산 상승폭이 가장 컸다.
또한 영역별로 살펴보면 교육환경 분야가 53.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보건 및 사회서비스 34.5%, 안전과 보호 5.7%, 놀이와 여가 4.2% 등이 뒤를 이었다.
교육환경과 보건 및 사회서비스가 총 88.4%를 기록했다는 것은 구가 아동들의 교육과 건강에 얼마나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예다.
박준희 구청장은 “균형 있고 내실 있는 아동친화도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참여권’ 등 편성 비율이 낮은 영역에 대한 사업 발굴 및 예산 확보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며 “관악구가 아동친화도시로 인증을 받은 만큼 지역내 모든 아동이 살기 좋은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 구 아동친화예산은 전년대비 약 80억원 증액된 1794억원으로 이는 일반 회계 본예산의 20.2% 수준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