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는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을의 처지가 어떤지 잘 아는 청년 노동자들에게 ‘주 69시간 몰아서 일하고 몰아서 휴가 가라’는 정책이 얼마나 허무맹랑하게 다가왔겠는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요즘 청년들은 권리 의식이 뛰어나서 괜찮다는 주무부처 장관의 말은 신박한 탁상공론처럼 들렸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정치를 하면서 무엇보다 잃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 현장 감각이다. 때로는 짧은 온라인 게시물 하나가 국민 삶의 현장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데 1년에 아르바이트생 채용이 169명 이뤄졌다는 편의점 이야기가 그렇다”고 설명했다.
이어 “게시글 속에 첨부된 문자메시지 내용이 사실이라면 1년에 169번의 알바생 채용이 이뤄졌을 법하다”며 “업무를 이행할 틈도 없이 2~7분 간격으로 몰아치는 지시사항과 갑작스러운 해고 통보까지 우리 사회에는 이런 부조리한 일터가 곳곳에 존재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런 것들은)극단적인 사례이고 노동자에 대해 합당한 처우를 하려고 애쓰는 선량한 고용주가 더 많다는 점을 알고 있지만 생계를 위해 일자리를 구해야 하는 청년들이 고용주에 비해 을의 위치에 있다는 것은 변함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권리의식’이 아닌 권리를 제대로 보장하는 것”이라며 “노동자의 권리를 퇴행시키는 노동개악을 막아내고 국민께서 삶의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거듭 만들어낼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