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7(당심):3(여론)전대룰 조정하나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22-12-01 14:14:35
    • 카카오톡 보내기

    안철수 김웅 “7대3 룰 변경할 이유 없어”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 전당대회 시점과 관련해 내년 3월 개최가 유력시되는 가운데 전대룰 조정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당 대표의 경우 당원투표 70%, 여론조사 30% 비율로 선출하게 돼 있는 전대룰을, 야당 지지층의 역선택을 막고 당심을 제대로 반영하려면 9(당원):1(여론) 비율로 변경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1일 “12월 9일 정기국회 종료 이후 전대 준비위원회가 출범하면 전대 시기와 룰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특히 "정진석 비대위 체제 임기 만료 시점이 3월 13일"이라며 "비대위 체제를 한 차례 연장할 수 있지만 전국위위원회 추인 문제도 있고 당무감사도 차기 대표에 넘겨줄 자료 차원일 뿐이어서 현재로선 연장할 명분 자체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대 룰 변경 여부를 두고도 "당심이 우선한 당대표 선출이 바람직하지만 이 역시 전대에 결정적 변수가 될 수 없다"며 "당 대표 선거에 윤심의 영향력을 언급하는 가설도 많던데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차기 당권 도전을 선언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국민 여론조사 할 때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는 것은 찬성”이라면서도 “윤석열 대통령도 당원 뿐 아니라 비당원 우호층이 합해 당선된 것으로 당심과 민심 반영률 7대 3을 변경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날 오전 YTN 라디오에 출연한 안 의원은 “민주당은 민심을 외려 25%로 늘려 이재명 당대표가 당선됐는데 민주당보다 민심 반영을 더 줄여야 되겠느냐는 명분도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을 찍은 분 목소리를 담으려면 (7대 3으로 유지해) 그렇게 뽑힌 당대표가 총선에서 비당원 우호층에게 표심을 호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전당대회 제반 사항은 공개적으로 당내 민주주의 절차를 통해야 부작용이 없다”며 “특히 비상대책위원회가 출범하는 과정에서 이준석 전 당대표와의 갈등 때문에 정부·여당이 여러 상처를 입었고, 이런 논란이 또 발생하면 다음 총선이 시작하기도 전 다 망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출범이 임박한 ‘친윤계 의원 모임인 ‘국민공감'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전대를 앞두고 ‘친윤’과 ‘비윤’ 하는 것은 당 분열을 가져올 수밖에 없는 구도여서 바람직하지 않고 모두 조심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친윤과 비윤 중 어느 쪽이냐'는 질문엔 “지난 대선 때 후보 단일화를 한 다음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을 했고 합당해 (지방 선거 때)여러 군데에서 다른 후보 당선을 위해 지원 유세를 했다”며 “그것으로 보면 명확한 것 아니겠느냐, 윤석열 정부의 성공이 바로 곧 국가의 성공”이라고 말했다.


    유승민계 김웅 의원도 전대룰 변경에 반대했다.


    그는 최근 페이스북에 "이럴 거면 당명도 바꿔라. '극소수 국민의힘', 또는 '당원의힘' 어떤가"라며 "우리 당 대통령 후보 경선룰은 국민여론 비중이 각 80%(1차 경선), 70%(2차 경선), 50%(3차 경선)였다"고 날을 세웠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