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연정 고리로 ‘反李빅텐트’ 펼쳐라

    고하승 칼럼 / 고하승 / 2025-04-16 14:20:40
    • 카카오톡 보내기

     
    주필 고하승



    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반(反)이재명 빅텐트(big tent)’ 구상이 정치권의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이 구상에는 국민의힘 대선주자들만 들어가 있는 게 아니다.


    국민의힘에서 이탈해 개혁신당을 창당하고 그 당의 대선주자로 나선 이준석 의원은 물론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해 새미래민주당을 창당한 이낙연 전 국무총리도 대상에 포함된다. 민주당 경선룰 변경에 반발해 경선 불출마를 선언한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무소속 출마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김두관 전 경남지사도 대상이 될 수 있다.


    단순히 ‘반이재명’이라는 구호 아래 모이자는 것이 아니다. 사실 그런 ‘빅텐트’라면 단지 특정인을 이기기 위한 ‘이합집산(離合集散)’에 불과해 국민의 지지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반이재명 빅텐트’에는 아주 강렬하고도 뚜렷한 명분이 있다.


    바로 ‘개헌’이다. 개헌을 연결고리로 ‘반이재명 빅텐트’가 펼쳐질 수 있다는 말이다.


    대한민국헌정회와 헌법개정국민행동, 지방분권전국회의 등이 속한 헌법개정추진연석회의와 국민의힘 대구시당, 새미래민주당 대구시당 등이 오는 18일 대구YMCA카페에서 '헌법개정 대구경북 결의대회'를 여는 건 그 시발점이 될지도 모른다.


    이미 새미래민주당은 17일 오후 5시 서울 용산기념관에서 개헌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기로 했다.


    경선 불참을 선언한 김부겸 전 총리와 김두관 전 의원, ‘찬탄파’인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에게 집회 참석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마도 ‘개헌’을 고리로 이재명에게 맞서기 위한 연대를 구축하겠다는 뜻이 담겨 있을 것이다.


    실제로 전병헌 새미래민주당 대표는 ‘개헌연대 국민 후보 선출’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지난 10일 기자회견에서도 “반이재명에 동의하는 정치 세력이 뭉쳐서 개헌 연정·연대 구성을 제안한다”며 국민의힘과 후보 단일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국민의힘 유력 주자들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반이재명 빅텐트가 필요하다”며 “이재명을 이기기 위해 어떤 경우든 힘을 합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도 “개혁신당뿐 아니라 민주당의 반 이재명 세력도 같이해야 (이재명 후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 당 후보가 탄생하면 그 사람을 중심으로 반 이재명 연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2002년 ‘반이회창 연대’로 뭉쳤던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모델을 이번 대선에서 재현해 이재명 후보를 꺾자는 것이다.


    그렇다면 실현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악당 이재명 꺾기 위해 뭉치자’라는 것이라면 명분이 약해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그러나 ‘개헌’, 나아가 ‘연정’을 연결고리로 한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개헌에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힌 ‘호헌파’ 이재명 후보에 맞서 나머지 ‘개헌파’ 후보들이 단일 후보를 내면서 ‘연정’을 위한 정치개혁을 선언하면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닐 것이다.


    민주화의 상징인 YS는 전두환 정권이 만든 민정당 등 3당 합당을 통해 대통령이 되었고, DJ는 박정희 정권에서 ‘2인자’로 꼽히던 JP와 연대를 통해 정권을 잡았다.


    상상력만 발휘한다면 ‘개헌’과 ‘연정’을 고리로 한 ‘반이재명 빅텐트‘는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그러면 현행 체제에서 기득권을 누리려는 호헌파 이재명 세력에 분노한 여야 원로들이 개헌파 단일 후보에게 힘을 실어 줄 수도 있다. 그 파괴력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6공화국 낡은 체제에서 기득권을 누리는 호헌파와 정치개혁을 통해 7공화국 시대를 열자는 개헌파의 싸움이라면 명분에서 당연히 개헌파가 이길 수밖에 없다.


    이번 대선 프레임으로 그렇게 구도를 짜야 한다. 정치개혁을 추진하는 개헌파냐,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87년 낡은 체제를 수호하려는 호헌파냐 하는 싸움이 이번 대선의 본질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