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중 6월 1일 의병의 날은 적의 침략에 맞서 자발적으로 조직되어 싸운 의병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는 날이며, 6월 6일 현충일은 현재의 대한민국이 있기까지 국토방위와 우리나라의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의 충성을 기념하는 날이다. 특히 현충일에는 나라와 국민을 위해 자신의 소중한 목숨을 바친 이들을 위해 조기를 게양하고 오전 10시 울리는 사이렌에 1분간 묵념을 하며 그들의 희생을 한 번 더 마음에 새기고 공헌을 기억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호국보훈의 달에는 일제의 수탈 정책과 식민지 교육 정책에 대한 반발로 학생들이 전개한 6·10 만세운동,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된 6·25전쟁, 1999년 서해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남북 함정 간 벌어진 제1연평해전, 2002년 연평도 해상에서 북한의 선제 기습 포격으로 시작된 제2연평해전과 같은 역사적인 사건이 모두 속해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역사에 중요한 사건들이 모여있는 6월 호국보훈의 달에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안전을 위해 희생한 이들을 기리고 그들의 헌신을 기억하며 국가의 안전과 번영을 위한 노력을 되새기는 한 달을 맞이해야 할 것이다.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며 우리 모두 나라와 국민을 위해 자기의 소중한 목숨을 바친, 꽃잎처럼 스러져 간 수많은 청춘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세월이 흘러가면 / 잊혀지는 일 많다 하지만 / 당신이 걸어가신 그 길은 / 우리들 가슴속에 별이 되어 / 영원히 빛날 것입니다.” 유연숙 작가의 추모시 “넋은 별이 되고”의 마지막 구절이다. 이처럼 우리는 이들의 희생과 투쟁 덕분에 현재 우리가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6월 일상에서 우리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많은 분을 기억하고 남아계신 유가족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는 마음가짐을 통해 우리가 있는 이유를 생각해보는 6월이 되었으면 좋겠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