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 더불어민주당 친명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자신에 대한 탄핵론이 제기되고 있는 데 대해 27일 "법무부 장관이 꼭 해야 할 일을 한 것이기 때문에 당당하게 응하겠다”며 “피하지 않겠다”고 단호한 입장을 표명했다.
한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 전 기자들과 만나 “ 실제로 민주당이 나에 대한 탄핵을 진행하게 된다면 그 절차 내에서 이 법이 얼마나 문제가 많은 법이고 국민에게 피해를 주는 법인지 실질적인 판단을 헌재로부터 받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이면서 이같이 밝혔다.
한 장관은 또 ‘헌재 결정에 대한 정부 및 여당의 이의제기가 삼권분립의 근간을 흔드는 행위라는 비판이 있다'는 취재진 질문에 “법무부 장관으로서 헌재의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많은 국민과 많은 법률가의 생각과 같이 저는 그 결론에 공감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한명숙 전 총리의 불법자금 사건에서 노골적으로 대법원 판결 결과에 불복하고, 그 결과를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까지 발동하면서 뒤집어보려고 한 분들이 할 말씀은 아닌 것 같다”고 반박했다.
야권의 ‘검수원복’ 비판에는 “민주당에서 그걸(시행령을) 원래대로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던데, 도대체 깡패·마약·무고·위증 사건을 국민을 위해 수사하지 말아야 할 이유가 뭐냐"며 "시행령 개정 이후 깡패·마약·무고 사건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되고 많이 개선되고 있지 않나 그게 국민의 공익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나는 왜 그걸 없애야 하고 왜 국민을 범죄에 노출해야 하는지 오히려 묻고 싶다”고 반박했다.
특히 헌재결정과 관련해 한 장관의 사과 및 사퇴 표명을 요구하는 야당 주장에 대해선 “헌재의 결론조차 위장 탈당 등 심각한 위헌 위법적인 절차가 입법 과정에 있었다는 점을 인정했다”며 “그렇다면 앞으로도 위장 탈당시켜서 계속 입법할 게 아니라면 사과는 제가 아니라 민주당 의원들이 하셔야 한다. 그게 상식적"이라고 받아쳤다.
앞서 민주당 김용민 의원은 지난 24일 페이스북을 통해 "손에 든 달콤한 사탕 빼앗긴다고 여기저기 시비 걸고 다니는 어린 장관은 혼을 내줘야 한다"며 "탄핵이 답"이라고 했고, 황운하 의원도 같은 날 BBS라디오에서 "한 장관이 사퇴를 거부한다면 국회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예컨대 탄핵 추진이라는 것이 검토될 수 있겠다"고 주장한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