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지난 24일 핼러윈 참사 국정조사계획서 국회 본회의 표결시 ‘윤핵관’으로 분류되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반대 또는 기권표를 던진 것에 대해 국민의힘 전주혜 의원이 “의원들의 자유 의견에 따라 자유로운 결정을 내린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전 의원은 25일 오전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윤핵관’ 의원들의 반대ㆍ기권표를 두고 원내지도부와 용산 대통령실 간 소통이 충분히 안 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는 것에 대해 “대통령실과의 소통 문제보다 (본회의 통과 직전)마지막 진통은 국민의힘에서 법사위원장이나 몇 명의 의원님들의 우려를 나타냈던 것 때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진복 정무수석의 ‘합의 내용 전체를 대통령실은 알지 못했다’며 불만을 나타낸 것에 대해 “대통령실도 이 부분에 있어서는 합의문을 본 상태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이 수석의)발언 자체가 의원들이 얘기하는 수준을 뛰어넘는 새로운 내용은 아니다”라며 “대통령실에서의 이 부분이 어제의 문제점은 아니었고 국민의힘 내부에서의 의원들 이견 때문에 여러 차례 의총을 거쳐 의견 수렴을 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이 문제를 제기했던 것은 법사위원들이, 특히 대검이 법사위의 소속 기관이다보니 이재명 대표를 향하고 있는 대장동 수사에 혹시 국정조사가 영향을 미치려 하는 사실을 더 우려하고 있다”며 “그런 면에서 법사위원들을 중심으로 한 몇 명의 의원님들이 이런 문제를 제기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검이 (대상에)들어간다는 것은 큰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우선 조사 범위와 조사 목적 간의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조사 목적에는 마약수사 단속과 이태원 참사의 관련성 때문에 결국 대검이 포함된 것으로 이해를 하고 있다”며 “그러면 결국 이태원 참사 당일 이태원에 나갔던 마약수사 단속과 대검과의 관련성이 있어야 하는데 관련성이 없다. 그날 마약 단속을 나간 곳은 경찰이고 검경수사권 조정이 됨으로 인해 검찰은 경찰에 대해 수사 지휘를 할 수 없으니 경찰이 독자적으로 판단해서 나간 것인데 이것을 가지고 대검이 나와서 조사를 받아야 한다는 건 관련성이 없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대, 기권한 의원 중 서병수 의원, 조경태, 한기호, 김희국 의원 등도 다 반대표를 던졌는데 몇 명이 찬성을 안했다고 해서 그게 용산 대통령실과의 관계 때문에, 아니면 어떤 움직임이 있는 것 아니냐 이렇게 보는 건 좀 과도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양당 간사가 기자단 앞에서 공개할 때 마약수사 부서장으로 (대상을)정한다든지, 마약 수사에만 한정해서 질문한다고 민주당이 받아들였으면 저희도 전원 찬성이 가능했다”며 “아직도 국민의힘에서는 국정조사가 정쟁, 특히 이재명 대표 방탄용으로 흐르지 않을까 그런 의심의 눈초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